ADVERTISEMENT

"중국산이 70% … 국산은 가격 못 맞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학교 앞 문구점에서 취급하는 식품류는 중국·베트남·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등에서 수입된 저가 식품이 대부분이다. 식품 유통업체인 경남상사 한새영 대표는 “문구점에 보내는 식품의 70%는 중국산”이라며 “국산 제품으론 문구점에서 팔 수 있는 가격을 맞추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100원짜리 식품의 경우 64∼65원이 수입원가”라며 “통관 뒤 대개 1∼2단계의 유통 경로를 거치며 문구점 납품가는 73∼75원 선”이라고 설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장영수 식생활안전과장은 “전국적으로 유통업체 약 20곳이 문구점에 식품을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문구점에 식품을 공급하는 유통업체는 자유업(도소매업)이어서 사업자등록증만 내면 영업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식품 수입업체인 끄레몽 F&B 허창기 대표는 “문구점에 공급하는 수입식품들도 통관 과정에서 다른 식품들과 마찬가지로 서류·관능(감각)·정밀 검사를 거치며 여기서 적격 판정을 받은 것만 문구점에 보낸다”며 “똑같은 수입식품을 학교 앞 문구점과 대형마트에 납품한다”고 말했다. 가격이 저렴한 것일 뿐 불량식품은 아니라는 것이다. 또 판매점에서 관리만 잘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다.

 식품을 파는 문구점 측의 얘기는 다르다. 문구점을 하는 K씨는 “100원짜리 한 개 팔아서 20원가량 남기는 문구점에 식품 안전의 세세한 내용까지 점검하라고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며 “정부가 제조·유통업체 관리를 더 철저히 해달라”고 말했다. 또 냉장고 등 일정 설비를 갖춘 우수 판매업소에만 식품 판매를 허가겠다는 정부 방침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다. 학습준비물생산유통인협회 방기홍 회장은 “사람들이 요즘 대형 문구점을 많이 찾다 보니 식품 판매가 중소 문구점 수입의 70∼80%를 차지한다”며 “대부분 생계형이라 정부가 과도하게 규제를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식품을 판매하는 문구점엔 냉장고 등 최소한의 위생시설을 갖추게 하고 문구점 업주를 대상으로 위생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중앙대 하상도(식품공학) 교수는 “문구와 식품을 함께 진열해 판매하거나 일부에선 가게 바닥에 노트처럼 식품을 놓는 등 비위생적인 환경은 개선돼야 한다”며 “문구점에서 팔 수 있는 식품 기준도 지금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식약처에서도 영세 문구점이 우수 판매업소로 전환할 때 드는 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박태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