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레일, 용산 개발사업 청산 결정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추정 사업비가 31조원에 달해 ‘단군 이래 최대 개발 사업’으로 불리는 서울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결국 무산됐다. 사업을 시작한 지 7년여 만이다.

땅 주인인 코레일은 8일 “이날 오후 5시부터 열린 이사회에서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 시행사인 드림허브PFV(이하 드림허브)와 맺은 철도정비창 토지매매계약 해지 안건이 결의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코레일은 9일 드림허브로부터 받은 땅값 2조4000억원 중 일부(5400억원)을 드림허브 채권단에 돌려줄 예정이다. 사업협약서상 이 경우 철도정비창 부지가 자동으로 코레일로 넘어가 드림허브는 사업권을 잃고 개발 사업은 청산 수순을 밟게 된다.

코레일과 29개 민간 출자사는 그동안 사업비 마련 방식 등을 두고 평행선을 달려왔다. 그러는 사이 드림허브는 자본금이 바닥나 지난달 12일 만기가 돌아온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만기 연장 이자(59억원)을 내지 못해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사업 재개를 위해 지난달 15일 코레일이 ^코레일이 사업 주도 ^자본금 4조원 증자 ^손배소 금지 등을 골자로 한 사업 정상화 방안을 제시했지만 민간 출자사 측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요구”라고 맞서 합의에 실패, 결국 사업이 백지화됐다.

29개 민간 출자사는 그러나 절차상 드림허브의 최종 파산까지는 10여 일이 남은 만큼 정부 중재에 마지막 희망을 걸고 있다. 민간 출자사들은 자금마련계획 등을 담은 새로운 사업 정상화 방안을 만들어 이번 주 안에 국토교통부 산하 ‘공모형 PF(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 조정위원회’에 중재를 요청할 계획이다. 한 민간 출자사 관계자는 “국제업무지구 통합개발 대상지인 용산 서부이촌동 주민을 위해서라도 희망을 끈을 놓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부는 “중재 대상이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다. 더욱이 공모형 PF조정위원회는 중재자 역할만 할뿐 양측의 합의에 강제성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사업이 무산됨에 따라 자본금(1조원) 증발 등 사회·경제적 후폭풍이 거셀 전망이다. 대규모 개발 사업이 무산으로 부동산 시장 침체의 골이 더 깊어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용산국제업무지구=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일대 용산철도정비창 부지(44만2000㎡)와 서부이촌동(12만4000㎡)을 합친 56만6000㎡ 부지에 국제업무 기능을 갖춘 대규모 복합단지를 건설하려던 사업. 111층짜리 랜드마크빌딩을 포함해 쇼핑몰·호텔·백화점·아파트 등 67개 빌딩을 짓기로 하고 2006년 사업을 본격화했지만 사업비 조달에 실패해 첫삽도 못 떴다.

온라인 중앙일보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