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정병욱 교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창경원 장서각서 한국문학사의 주춧돌을 움직이게 하는 보배로운 자료를 찾아낸 서울대문리대정병욱(44) 교수는 금년 학계서 최대의 수확을 거둔 「히로」. 먼지투성이의 서고속에서 근2천4백 책의 낙선재문고를 독파하기 1년. 끝내, 일찍이 볼 수 없었던 대하소설 등 l백20여편의 새 자료가 있음을 확인하자 그 소식은 학계를 크게 긴장시켰다.
8월22일, 낙선재문고 소식은 우리나라 신문사상 문학관계 기사가 1면「톱」에서 각광받은 최초의 유례를 만들었다. 『문학기사가 1면「톱」이 되다니 참 통쾌하더군요』-고초의 보람을 처음 느꼈다는 정교수의 말이다.
그에게 집중된 각광은 방대하고 읽기 어려운 그 궁체소설을 정리·조사했다는데 있다. 국문학계의 일부에선 『낙선재문고가 있다는 건 나도 안다』는 식의 「행차 뒤의 나팔」을 불었지만 『그게 뭔지도 모르면서 어떻게 「나도 아노라」하는지…』오히려 정교수는 그 후에도 장서각에 와서 관심을 갖고 뒤져보는 이를 한사람도 보지 못했다고 섭섭해한다. 『적어도 이제까지의 목록식 소설사는 탈피하게 됐죠. 낙선재문고의 소득은 바로 본격적인 소설사를 만들 자료를 구했다는데 있습니다. 구성과 인물 등 다 연구되면 몇 가지 「패턴」이 축출될겁니다.』 그는 앞으로 중국문학과의 비교연구가 큰 과제라고 지적한다. 번역·번안 및 그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아들인 것이냐 하는 「소스」를 밝히자면 중문학계 및 중국의 학계에서 협조가 필요하다고.
제2단계로 정교수는 현대문으로 옮겨 쓰고 주석하는 일을 착수했다.
「완월회람연」등 대장편을 제외하고 「천수석」「보은기우록」등 비교적 짧은 것 30편을 골라 우선 출판할 계획이다.
8명의 연구원을 동원하여 두 달간 쓴 것이 고작 원고지 4천장. 『학문이란 원래 끝이 없는 게 아닙니까?』 한다.
그것도 출판사가 고로를 선불해 줘서 『다행히 계속하게 됐다』고 통사정이다.<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