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에 물량부담 줄까 9조 은행주 단계 매각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은행 민영화를 놓고 '단계적인 매각'을 택했다.

공적자금을 회수하려면 정부 지분을 서둘러 팔아야 하지만, 그러다 보면 최근 모처럼 상승세를 타는 증시에 물량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것인데, 그래서 정부는 '적절한 속도로 추진한다'는 합리적인 듯하면서도 모호한 표현을 썼다.

실제로 공적자금 투입 9개 은행의 주식물량은 9조1천억원(액면가 기준)에 달한다. 정부지분 1백%인 우리금융(3조6천3백억원).서울은행(6천1백억원)과 80%인 조흥은행(2조7천1백억원)이 이른바 '빅3'다.

그렇다고 손놓고 있을 수도 없는 것이 공적자금을 왜 회수하지 않느냐는 따가운 여론이 있는데다 최근 은행들이 이익을 많이 내고 신용등급이 올라가는 등 여건도 좋아지기 때문이다.

이런 고심 속에 확정된 정부의 민영화 방안은 따라서 앞으로 증시나 경제여건에 따라 변경될 가능성을 태생적으로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조흥은행=상반기 중 구주 약 15%(5억달러 내외)를 해외에서 주식예탁증서(DR) 형태로 매각한다. 구체적인 규모나 시기는 30일 시작되는 해외 로드쇼의 반응을 보고 결정한다.

하반기에 전략적 투자자, 즉 경영에 참여할 뜻이 있는 국내외 금융기관에 15~20%의 지분을 일괄 매각한다.

전략적 투자자는 단순히 매매차익이나 배당수익을 노리는 자본과 성격이 다르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전략적 투자자에 매각이 여의치 않을 경우 연.기금 등 국내 기관투자가에 장외시장에서 매각하는 '블록 세일(Block Sale)'을 추진한다.

블록 세일과 관련해 재경부 주형환 은행제도과장은 "국내 증권사를 주간사로 선정해 매각 물량을 일괄 인수케한 뒤 이 증권사가 여러 가지 옵션을 넣어 기관투자가에 재매각하는 방안이 한 예"라고 말했다.

내년 이후 교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5% 정도의 지분을 매각하는 등 2005년까지 단계적으로 판다.

◇ 우리금융지주회사=5월 말~6월 초 공모를 거쳐 증권거래소에 상장한다. 증시 상황이 안좋아 상장이 어려울 경우 교환사채를 발행하는 대안도 생각하고 있다.

조흥은행처럼 하반기에 전략적 투자자에 매각하되 잘 안될 경우 기관투자가에 블록 세일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내년 이후 해외 DR를 발행하고 뉴욕증시 상장도 추진한다.

◇ 나머지 은행=서울은행은 올해 경영권을 넘긴다는 게 원칙이다. 정부는 인수를 희망한 산업자본과 우량은행 등에 모두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농협과 수협, 한미.하나은행은 공적자금 지원 당시 상환일정이 이미 확정돼 있다. 농협은 2005~2006년, 한미.하나은행은 2004년 3월까지 각각 분할 매각한다.

국민.외환은행 지분은 올해 매각하지 않는다. 은행주 물량이 한꺼번에 시장에 나오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다. 단 마땅한 전략적 투자자가 있으면 조기 매각키로 했다.

고현곤 기자 hkko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