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고독사 시대에 대처할 매뉴얼이 시급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고독사는 난감한 사회 문제다. 홀로 살다 홀로 죽음을 맞고, 주검도 몇 개월부터 몇 년이 지나야 발견되는 게 예사다. 부산에선 고독사한 남자가 백골이 된 채 6년 만에 발견됐다. 지난주에도 부산에서 30대 여성이 숨진 지 8개월 만에 백골 상태로 발견됐고, 지난해 말 서울에선 전직 배구선수 출신 60대 여성이 20여 일 만에 발견됐다. 이렇게 언론에 보도되는 고독사 사례도 드물지 않게 늘고 있다.

 이미 한국은 고독사 사회다. 그러나 정부는 고독사 통계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다만 한 해 500~1000여 명 정도가 고독사하는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고독사가 사회 문제로 떠오르면서 보건복지부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매주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관리 대상이 되는 노인은 17만여 명 정도다. 독거노인이 119만여 명으로 집계되고 있으니 10명 중 한 명꼴로 관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정부 관리 대상이 되고 있는 저소득층 독거노인 사정이 제일 나은 것이다.

 실제로 고독사 예방과 대책은 쉽지 않다. 우리보다 훨씬 앞서 고독사가 사회 문제가 된 일본도 2011년 2만6000여 명이 고독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지만 실태 파악과 대책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이다. 이는 고독사가 저소득층·고소득층, 젊은층·노년층을 가리지 않고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렇기 때문에 오히려 1~2인 가구가 전체 가구 수의 절반을 차지하는 우리 사회는 고독사에 대처하는 사회적 안전망과 시민사회의 매뉴얼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독거노인 관리도 더욱 확대하는 한편, 기존 고독사한 사람들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해 사전 징후와 고독사 고위험 상황 등을 매뉴얼화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 고독사한 경우 지나치게 혼자 집 안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거나 생활고를 호소하는 등의 독특한 양태를 보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정황을 정밀히 분석해 시민사회가 공유하는 자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정부뿐 아니라 이웃 간에도 징후를 발견하려는 시민사회의 노력이 병행돼야 고독사에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