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체질의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신춘문예 당·입선작 공연 총평>
각 일간지에서 연례적으로 실시하는 「신춘문예」의 당선??곡을 무대화한다는 극단「드라마·센터」의 두 번째 작업.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드라마·센터」에서 상연된 이 공연은 중앙일보입선 원갑희 작 「동굴설화」(이원경 연출) 동아일보당선 오재호 작 「담배내기」(이광래 연출), 조선일보당선 전진호 작 「들개」(이진순 연출), 경향신문당선 고동률 작 「동의서」(이해랑 연출), 이렇게 네 편이었다.

<통속적 눈물과 한국적인 눈물>
『동의서』― 김금지의 「처」는 분명히 정신병자는 아닐 터인데 정상적인 여자로 느껴지지 않는다. 우리는 때때로 짜증을 느낄 정도로 그 「처」는 신경질적이다. 통속적인 눈물과 한국적인 눈물에 질색한다는 이 작자가 우리를 이토록 초조하게 만들었으니 그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김금지는 「콕토」의 「목소리」의 주인공으로 돌아간 듯하다.

<젊은이의 박력 쥐어짜는 웃음>
『담배 내기』― 관객들은 배를 쥐고 웃었다. 연기진은 모두가 신인들로서 젊은이다운 박력과 재기가 넘친다. 그러나 그들이 쥐어짜는 웃음은 이따금 어떤 사람들이 재현하던 쥐어짜는 울음을 연상시킨다. 그들 연기자들은 관객을 웃기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지나치게 드러난다 .
작자의 재치와 기교가 넘쳐흐르는 『담배내기』였지만, 왜 작자는 민승원의 사창굴출입 얘기와 간호장교의 「팬티」 얘기로 우리를 웃기려고 했을까? 이만한 작품을 쓸 수 있는 그라면 좀 더 다른 얘기로 우리를 즐겁게 해줄 수 있었을 것이다.
고무신에 작은 거울을 끼고 간호장교의 「팬티」를 비쳐 보는 장면에서 외면해버리고 싶은 관객은 없었을까?― 그런데도 관객들은 높은 소리로 웃기만 했다….

<춘향이처럼 부끄러울까>
『들개』― 30년대의 「테마」가 아닐까? 멋진 「홈런」을 치고야 말겠다는 이 작자는 『천천히 두려워하지 않으며』 하는 명심록을 이렇게 바꾸면 어떨까? 『두려워하지 않으며 그러나 빨리, 10년 안으로 30년은 뛰어야 하니까―』 안정된 남자연기진의 연기로 무대는 듬직했지만 「순나」 김 애리사는 역시 30년대의 순박한 처녀. 23세의 여자는 모두 그렇게 시집얘기 앞에서 춘향이 처럼 부끄럼을 타야 하나, 이 현대에.

<시적인 분위기 은 쟁반의 사과>
『동굴설화』― 그러고 보면 이 작자는 자기 나이에 비해 너무 앞서있다. 춘향전 대목으로 진입했을 때 이 작품은 잠깐 빛났다. 그러나 관객의 티 묻은 웃음이 쏟아질매 「은 쟁반의 금 사과」란 명구가 생각된다. 배우는 우선 자기의 말이 들리도록 말하고, 자기 몸이 보이도록 무대에 서야한다.
전체분위기가 시적이면서 움직임조차 무용적이어서 좋았지만 우리는 여기서 태초의 혼돈상태를 보이듯 명확치 못한 것을 느낀다. 역시 우리의 결어는 이 작품의 「심볼릭·터치」의 무위성에 있다.
전체적으로― 네 작품 모두가 뚜렷하게 달라서 흥미가 있었고 여기에 따른 무대장치의 변화도 썩 좋았다. 네 작가의 취향이 달라서 흥미가 있은 반면 네 작가의 시대에 비해 추구 점에 있어서 너무도 공통성이 없다는 것도 특징이다. 사실 이것은 우연한 것이 아니다. 우리에게는 과거에도 그랬지만, 현실적인 공동의 이념이 없는 것이다. 저마다 자기 나름의 미로를 걷고있다.
이러한 네 개의 작품을 또한 네 사람의 노련한 연출자가 담당함으로써 「드라마·센터」의 이번 공연은 특히 인상적이었다. 새 극작가의 출현에 대해 이렇듯 융숭한 대접을 한일이 예전엔 없었다. 우리 연극의 새로운 체질이 이러한 행사를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가능성은 있다. 이번 공연의 성과를 크게 평가하고자하는 이유는 진실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