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한 정보통신 기반 시설 현황

중앙일보

입력

북한은 정책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보기술(IT)발전을 위해 컴퓨터통신망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열악한 통신 설비로인해 컴퓨터통신망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북한의 통신기반 시설 현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북한 통신산업은 공공 및 군사분야의 통신망 확충에 힘써 왔던 정책적 특성 때문에 개인간 통신망 구축은 상대적으로 뒤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북한 당국은 지난 80년대부터 국내외 통신시설 확장 및 현대화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89년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과 91년 라진ㆍ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설립을 계기로 통신망 구축 속도가 빨라졌다.

지난 95년 유엔개발계획(UNDP)의 지원을 받아 평양∼함흥간 300㎞ 구간에 광케이블을 설치했으며, 97년 12월에는 평양과 전국 70개 시ㆍ군의 광케이블화와 시외전화 자동화가 실현되었다.

이어 지난 98년 초에는 평양~신의주간 400km 광케이블 설치공사를 완료했다. 그러나 평양과 대도시간의 연결지역을 제외한 지역은 전반적으로 통신망이 극히 열악하다고 북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북한의 국내 전화망은 총 110여만회선이고 전화방식은 평양 등 주요도시와 시ㆍ군 단위까지는 자동전화 방식이지만 군 단위 이하의 시골에서는 아직도 수동전화를사용하고 있다.

공중전화는 지난 96년 말 현재 2천720대로 평양에만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동전화나 무선호출서비스는 평양과 라진ㆍ선봉지역, 금강산관광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도입돼 있다.

국제통신망은 사회주의권 국가와는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다. 평양~중국 베이징(北京), 평양∼러시아 모스크바를 연결하는 무선망과 신의주~베이징, 청진~블라디보스토크를 연결하는 유선망을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서방국가와는 평양~싱가포르, 평양~홍콩, 평양~일본간의 단파 무선과 중국의 베이징지구국을 중계지로 하는 간접통신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에 따르면 현재 평양과 세계 170개 주요 도시간 국제자동전화(IDD)가 가능하다. 지난 95년부터 AT&T를 통해 평양과 미국내 워싱턴ㆍ뉴욕ㆍ로스앤젤레스간 통화가 가능했고, 일본과는 90년 11월 직통위성회선 및 국제전용선이 구축됐다.

이와 함께 지난 90년대 초에 과학원, 김일성종합대학 등 주요기관에 근거리통신망(LAN)을 설치하였고 97년 6월에 내각의 각 위원회, 성ㆍ중앙기관, 주요 대학, 인민대학습당 등을 연결하는 북한 내 컴퓨터통신망인 `광명''을 설치했다.

`광명''을 개통한 이후 이 망에 가입한 컴퓨터 대수가 지난해 말 현재 98년에 비해 4.6배나 증가했을 정도로 북한은 당국은 컴퓨터통신망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광케이블망과 국내 전화망을 통해 컴퓨터통신망 확충에 힘써온 북한 당국은 주요 시ㆍ군에서는 기존의 전화선과 수동식 교환대를 이용한 컴퓨터통신망을 구축, `광명''과 연결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 전문가들은 북한이 일본, 스위스 등으로부터 중고 전화기와 교환기를 도입하여 200만회선을 목표로 증설하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전했다.

때문에 북한은 저렴하면서도 단기간에 통신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중에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이 남한 기업들의 무선랜 장비와 인공위성을 인용한 인터넷 시스템에 관심을 표명한 것도 열악한 통신설비 개선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평양을 방문했던 벤처업체인 알에프티엔씨의 박문수 사장은 "북한은 건물사이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무선랜 장비 도입에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다"며 "이는 북한의 통신 인프라가 열악하고 무선랜을 도입하는 것이 광케이블을 설치하는 것보다 비용이 적게들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한동철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