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결핵 치료연구 국제적 인정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존 약제로 치료가 어려웠던 광범위내성 결핵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국내 임상시험 결과가 발표됐다.

국립마산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연구팀은 2008년 12월부터 거의 모든 결핵치료약에 내성을 나타내 더 이상의 치료방법이 없는 41명의 광범위내성 결핵 환자들에게 리네졸리드를 투여하면서 치료효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리네졸리드를 포함한 치료를 실시한 38명(3명은 치료전 탈락)의 환자 중 34명(89%)에서 치료기간 6개월 이내에 치료효과가 증명됐다. 현재 17명이 최소 2년간의 치료를 성공적으로 마쳐 완치됐고 나머지 환자들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 중이다.

광범위내성 결핵이란 결핵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약제인 아이나와 리팜핀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결핵에 더해 주사제와 플루오로퀴놀론계 약제에도 내성을 보여 적절한 치료가 어려운 치명적인 결핵으로 일명 수퍼결핵으로 알려져 있다.

투약과 수술을 포함한 현존하는 모든 치료수단에도 불구하고 치료 효율이 50% 정도에 불과하고 사망률도 20%를 상회해 결핵 퇴치를 위한 관리 대상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조상래 국제결핵연구소장(공동 교신저자, 연세의대 교수)은 "이번 연구결과는 광범위내성 결핵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국내 결핵 환자의 치료 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광범위내성 결핵의 새로운 치료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리네졸리드를 포함하는 복합치료로 결핵의 치료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새로운 임상연구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봤다.

이번 연구는 재단법인 국제결핵연구소(이사장: 송선대)가 한미 양국의 재정 지원을 받아 국내 2개 병원(국립마산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및 미국 국립보건원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그 중간 결과가 세계 최고 의학전문학술지인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에 18일 게재됐다.

[인기기사]

·2013수가협상, 병협은 타결 의협은 불발 [2012/10/18] 
·제약업계 맏형 동아제약 굴욕 3종세트 [2012/10/17] 
·“간질약인가? 한약인가?” 한약 거부운동으로 확산 [2012/10/17] 
·"의료기관 병상 급증 이게 문제!" 10년간 1.8배 증가 막을 해법은? [2012/10/17] 
·적십자사, 임금체불에 콘도 회원권 과다 보유까지 [2012/10/17]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