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영국인 "싸이, 팝가수 행동 안해…한국스타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2004년 8월 제주도의 어느 해안가. 여행 중이던 영국인 20대 4명이 길을 잃었다. 날은 궂고 인적이 드물어 초조하던 차에 작은 구멍가게를 발견했다. 가게 주인에게 서툰 한국어로 제주시로 가는 법을 물었다. 무뚝뚝해 보였던 가게 주인은 일손을 바로 놓고 “따라오라”는 손짓을 했다. 곧장 가게 셔터를 내리곤 이들을 차에 태워 제주시에 데려다 줬다. 한 시간 가까이 걸렸다. 콜택시의 전화번호 정도를 물어볼 요량이었던 이들에겐 구세주였다. 일행 중 한 명은 이후 영국 이코노미스트 서울 특파원이 됐다. 다니엘 튜더(30ㆍ사진)다.

당시 그는 한국에서 영어강사를 하며 전국을 여행 중이었다. 옥스퍼드대에서 정치학ㆍ경제학ㆍ철학을 공부했는데, 2002년 월드컵 때 서울을 찾았다가 열기에 매료돼 졸업 후엔 무작정 한국행 비행기표를 끊었다. 그해 여름날 제주도 구멍가게 사장님을 만난 게 한국에 정착한 계기다. 그는 “낯선 사람에게 이렇게까지 마음을 여는 사람들이 있는 곳이라면 평생 살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는 서울에서 미국계 증권회사를 거쳐 미래애셋에서 근무했다. 영국으로 돌아가 맨체스터대에서 경영학석사(MBA)를 받은 뒤엔 2009년 스위스에서 펀드매니저로 일하며 한국에 돌아갈 기회를 찾았다. 우연히 이코노미스트 서울특파원 모집 공고를 보고는 바로 지원해 서울로 돌아온 게 2010년이다. 그는 지금 한국과 북한 관련 서울발 기사를 이코노미스트에 송고한다. 중앙SUNDAY엔 지난해 8월부터 칼럼을 기고 중이다.

그가 한국에 대한 애정을 책으로 펴내자는 생각을 한 것은 지난해 초다. 300쪽을 넘긴 책 제목은 『Korea: The Impossible Country(한국: 불가능한 나라)』다. 고조선부터 현대까지의 역사는 물론 직장 문화, 민족주의, 남녀평등과 같은 사회 전반의 문제를 다뤘다. 미국 출판사에서 낸 영어판인데 한국어 번역본을 준비 중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아시아 담당 국장인 데이비드 필링은 “한국은 아시아에서 가장 덜 알려진 나라다. 튜더의 책은 이런 이해의 공백을 메우고 고정관념을 깨는 데 도움이 된다”고 호평했다.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의 부인인 셰리 블레어 변호사는 “한국 여성이 겪은 변화의 양상을 매력적인 통찰력으로 알려준 책”이라고 평가했다. 정재승 KAIST 교수는 “튜더의 글은 좁은 시야로 눈앞의 이익, 오랜 관행에 사로잡혀 사는 우리들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시선”이라고 말했다. 26일 만난 튜더는 “다음엔 아예 한국어로 책을 써보고 싶다”며 “한국어 공부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말했다.

-책을 쓰게 된 동기는.
“한국이 아닌 곳을 가면 여전히 ‘한국인들은 정말로 개고기를 먹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는다. 한국에 대한 편향되고 제한적인 정보 때문이다. 한국은 개고기 말고도 얘기할 게 너무나 많은 나라다. 그런데도 한국의 풍부한 스토리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에 주재하는 특파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뉴스는 북한인 경우가 많다. 서점에선 오늘날 한국의 모습을 그려낸 책을 찾기 어렵다. 하지만 중국과 일본 관련 서적은 넘쳐난다. 주제가 다양하고 최근작도 많다. 한국이 가진 극적인 역사와 국제사회에서 높아진 위상을 생각하면 ‘이건 좀 아닌데’란 생각이 들었다.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고 싶었다.”

-책을 쓰며 어떤 점에 신경을 썼나.
“한국에 고작 몇 년간 살았으면서 내가 한국에 대해 다 아는 것처럼 보이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그러면서도 애정 어린 비판을 하고 싶었다. 그래서 발품을 팔고 사람을 만났다. 인상 비평 수준에 그치는 책은 쓰고 싶지 않았다. 축구 감독 홍명보를 비롯해 박원순 서울시장, 배우 최민식, 고은 시인, 장하준 케임브리지대 교수 등 40여 명을 심층적으로 만났다. 평범한 직장인과 무속인, 택시기사도 찾아갔다. ‘진짜 한국’을 전하고 싶었다.”

-제목『한국: 불가능한 나라』의 의미는.
“두 가지다. 먼저 불가능한 기적을 이뤄낸 나라란 뜻을 담았다. 한국은 민주주의와 경제발전이란 두 가지 기적을 이뤄냈다. 두 번째는 지금 한국 사회가 갖고 있는 성공에 대한 높은 기준을 달성하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는 의미다. 교육·평판·외모·경력에서 한국인들은 거의 달성이 불가능할 정도로 높은 기준에 맞추려 애쓰는 것 같다. 그러다 보니 자살률은 높아지고 행복지수는 낮아지는 것 같다. 강남 대치동의 아이들은 왜 여행용 캐리어에 책을 가득 채운 채 학원에 가야 하는 걸까. 안타까운 마음에 이런 ‘불가능한 목표’에 시달리는 한국인의 모습을 조명하고 싶었다.”

-그 배경은 뭐라고 보나.
“성공에 대한 집착이 아닐까 한다. 대학ㆍ직장ㆍ경력, 심지어 결혼까지 성취해야 할 목표가 돼 버린 것 같다. 1960년대 이후 눈부시게 경제발전을 하면서 다들 뒤처지면 안 된다는 생각을 갖게 됐고, 그러다 보니 경쟁이 심화된 것 같다. 영어 열풍도 그렇다. 실제로 영어가 필요하지 않은 대다수 한국 사람마저 ‘영어를 못하면 인생에서 실패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지 않나. 이코노미스트 같은 유력지도 다들 읽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구독 부수는 5000부가량인데 내가 만나는 거의 모든 사람이 ‘이코노미스트 잘 보고 있다’고 하더라(웃음). 지나친 경쟁은 내가 사랑하는 한국인의 기질인 정(情)과 흥(興)에도 맞지 않는다. 2002년 월드컵 당시 뜨겁게 하나가 되던 한국의 모습이 진짜라고 생각한다. 해운대에서 서로를 얼싸안고 응원하다 보니 인파에 밀려 어느새 물이 허리춤까지 차 올라도 다들 마냥 신나 했다. 그런 에너지가 한국 특유의 힘이다. 여기에다 2004년 제주도 구멍가게 사장님이 보여준 정은 한국인만의 힘이다.”

-외국인이라서 특별히 친절했던 건 아닐까.
“한국에서 몇 년을 살아본 결과 그건 아니었다고 확신한다. 물론 ‘외국인 전용택시’와 같이 한국이 외국인에게 지나치게 친절한 부분도 있다. 사실 이런 부분은 잘못된 것이라고 본다. 세계화를 지향하는 한국이 외국인과 한국인을 더 명확하게 구별하는 건 아이러니다. 사실 ‘외국인’이란 말이 개인적으로 달갑지도 않다. ‘외국인은 결코 우리의 일원이 될 수 없다’는 의미가 깔려 있는 것 같아서다.”

-책에서 한국은 ‘방어적 민족주의’를 갖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는데.
“한국은 ‘우리’와 ‘남’을 확실히 구분하는 문화가 강하다. 한국 지도자들이 얘기하는 국제화는 ‘미국화’에 가까운 것 같다. ‘선진국은 이렇게 하니까 우리도 하자’는 사고 방식을 자주 접하는데, 이런 방식의 국제화는 한국의 특색을 퇴색시킬 뿐이다.”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한다고 보나.
“싸이가 ‘강남 스타일’을 히트시킨 건 외국 팝가수처럼 행동했기 때문이 아니다. 싸이는 한국 가수로서 놀고 웃고 즐겼다. 이게 ‘한국 스타일’ 아닐까. 우리는 한국이 한국이어서 좋다. 한국이 미국 같아서 좋은 게 아니다. 영국 친구들이 오면 우린 포장마차에서 고갈비에 소주 한잔으로 행복하다. 한국과 한국인들이 좀 더 자신감을 가졌으면 좋겠다. 불가능한 목표에 스스로 얽매이는 것보다 ‘한국 스타일’로 즐겁게 흥을 돋우며 사는 게 어떨까. ‘만족’이라는 이름의 기적이 찾아오길 바란다.”

전수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