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힘 빼고 즐겁게 넘을 듯 말 듯, 보일락 말락 어떻게 하냐건… 생각나는 대로!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80호 21면

상처받는 이 없기, 우리끼리만 재미있기 없기
-신동엽의 ‘19금 개그’가 여전히 화제다.
“아주 옛날부터 성적(性的) 코드를 자연스럽게 접목시켜야 한다고 생각했다. 성인들이 만나면 자연스럽게 꺼내는 게 바로 이 얘기 아닌가. ‘남자 셋 여자 셋’이 끝난 후에도 일일 시트콤 말고 일주일에 한 번씩 심야에 성인 시트콤을 해보자고 했다. 그게 벌써 15년도 더 된 얘기다. 이제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건 우리 사회가 점점 다양한 것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기 때문인 것 같다.”

19禁 개그의 지존, 신동엽

-그동안 꾸준히 해와서 그런지 독보적이라는 느낌이다.
“자연스럽게 생각이 나서 하는 건데…. 나만 입 밖으로 꺼내는 걸까. 접근 방식이나 관점이 좀 다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어쨌든 재미있지 않나.”
인터넷엔 ‘신동엽 섹드립 플레이어’라는 동영상이 있다. 그의 ‘19금 개그’를 팬들이 모아놓은 영상이다. 10여 년 전 방송까지 담긴 이 동영상엔 그의 드립이 깨알처럼 담겨 있다. 이를테면 이런 것들이다. 사자성어 ‘칠전팔기’를 ‘칠전발기’라고 발음한 출연자 때문에 방청객과 MC들의 웃음이 터진 가운데 신동엽이 혼자 중얼거리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그렇죠…. 어쨌든 일어서야 하는 거니까.” 남자친구를 사귀는 딸이 걱정돼 엄격한 통금시간을 정한 엄마에겐 이렇게 말한다. “어머님이 걱정하시는 그런 행동은 낮에도 할 수 있고요.”
민망할까봐 웬만하면 꺼내지 않고, 자칫 논란이 될 수도 있는 내용들이다. 그런데도 그가 하면 웃어넘길 수 있는 건 그의 캐릭터 덕이기도 하다. 능청스럽고 깐죽대는 평소 캐릭터가 ‘19금’조차 개구쟁이의 짓궂은 농담으로 받아들이게 한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는 넘을 듯 말 듯 절묘한 그의 수위 조절이다.

-찰랑찰랑 잘 조절하는 것 같다.
“생각나는 대로 한다. 어떻게 하느냐고 물으면, 사실은 나도 잘 모르겠다. 다만 어느 선을 넘으면 안 되고, 그럼에도 그 선까지 최대한 가까이 가야 한다는 생각은 한다. 선을 넘을 바엔 안 하는 게 낫고, 너무 안전하게 갈 바에도 안 하는 게 낫다. 그 선에는 나만의 기준을 적용하는데 신기하게도 많은 사람이 나와 비슷한 기준을 갖고 있는 것 같다. 코미디뿐 아니라 삶 자체가 그 선에 도달하기 위해 애를 써야 하는 거 아닐까.”

-나만의 기준이란 게 뭔가.
“웃음이란 게 어떤 사람의 말과 행동을 흉내 내거나 상대를 놀리고 당황스럽게 할 때 생기는 경우가 많다. 나 자신을 비하할 때도 있고. 이렇게 누군가 웃음의 대상이 될 때 중요한 건 그 사람이 기분 나빠하면 안 된다는 점이다. 선을 넘는 순간 인격적으로 모욕당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웃음에 상처받는 사람이 있으면 안 된다.”

그는 이런 것들이 “어렸을 때부터 몸에 배어 있었다”고 말했다. “내가 착한 사람도 아닌데 그 자리에서 소외받는 사람을 자꾸 쳐다보고 신경 쓰게 된다”고 했다. 먼저 말을 꺼내지 않는 그에게 물었다.

-혹시 형의 영향이 있을까.
“그럴 수도 있다. 말 못하는 우리 큰형 때문에 가족끼리 모였을 때도 혹시나 우리끼리만 오래 대화한 게 아닌가 신경을 썼다. 그런 것들이 영향을 미친 것 같다.”

방송에서 그가 몇 차례 얘기했던 큰형은 청각장애가 있다. “가족 모두 음악 프로그램은 형이 못 들어서 안 보고, 개그 프로그램은 우리끼리 웃게 되기 때문에 안 봤다”는 것과 마찬가지로 그는 자연스럽게 ‘우리끼리’ 재미있는 개그는 하지 않게 된 것이다.

‘원 오브 뎀’도 OK 스포트라이트 강박증 버렸다
-최근까지 예능의 대세는 리얼 버라이어티였다. 그 기간이 신동엽에게는 슬럼프였고.
“야생에서 소리 지르고 게임하는 건 잘 못한다. 목도 금방 쉬고 체력이 뒷받침이 안 된다. 재능이 없는 거지. 그래서 잘하는 사람들 보면서 대단하다, 대단하다 감탄한다.”

-방송가에선 지붕 덮인 곳에서 방송하면 실속파라고 하던데. 누군가 농담이라면서 신동엽은 게을러서 야외 방송 안 한다더라.
“아냐 아냐, 그건 농담이다(그가 처음 웃었다). 각자 가진 재능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성대가 약하고 체력이 저질이다. 대신 내가 잘하는 부분이 있고 나만의 색깔이 있는데, 공교롭게도 그게 다 실내였다(웃음).”

-지금 하는 방송은 후임으로 투입됐거나(‘강심장’), 집단MC가 끌고 가는(‘안녕하세요’) 것들이다.
“옛날 같았으면 ‘내가 원 오브 뎀(one of them)으로?’ ‘누가 하던 프로그램을?’ 이러면서 싫어했을 거다. 지금은 내가 꼭 스포트라이트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 안 한다. 예전엔 그런 게 심했다. 박수 칠 때 떠나야 한다는 강박도 있었다. 뭘 하다가 딱 잘될 때 그만두고 6개월씩 쉬었다. ‘해피투게더 쟁반노래방’ 할 때도 (그냥 관두면) 욕먹을 것 같아서 김제동·유재석씨에게 사정을 했다. 근데 그 친구들이라고 하고 싶었겠나. 그래도 지금 ‘해피투게더’는 유재석이 열심히 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강심장’을 하니까 강호동 프로그램을 물려받았다고들 하는데, 그런 건 중요한 게 아니다. 내 스타일이 있다. 잘될 수도 있고 안 되면 그만둘 수도 있다. 이래서 좋고 저래서 좋다. 내 의지대로 돌아가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럼 뭐가 중요한가.
“나만이 할 수 있는 역할로 유치하지 않으면서 재미있게 하는 것. 예전엔 회의해서 가대본 나올 때까지 소파에서 자면서 고치고 또 고치고 확인하고 그렇게 전쟁처럼 살았다. 장단점이 있겠지만 그렇게까지 하는 게 썩 좋지는 않은 것 같다. 결과물에 대해 조바심 내기보단 힘 빼고 즐겁게 일하는 게 중요하더라. 지금은 그런 강박에선 벗어났다.”

-‘제 2 전성기’라는데 제의가 많지 않나.
“제의는 많이 온다. 그런데 프로그램은 제작진의 몫이다. 좋은 PD와 작가가 제의를 해줬을 때 내 느낌을 곁들여서 만드는 거다. 제 2의 전성기라고 하는데, 거기엔 공감하지 않는다. 대중이 좋아해주면 좋고, 아니면 또 자극받아서 하면 될 뿐이다. 대중이 ‘19금 개그’에 주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내가 해온 것들이니까. 내가 그것만 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요즘 들어 재미있어 하니까 나쁘지 않다.”

-완벽한 ‘19금쇼’란 어떤 것일까.
“음, 이런 거 아닐까. 보일락 말락.”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