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만에, 하늘서 받는 서울대 졸업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아무리 찾아도 노가 없다. 초조하다. 그때 갑자기 손에 모래 아닌 것이 잡힌다. 광명이 이런 것일까? 인간이 아닌 것에 감사하고픈 마음이 든 건 처음이었다.”

 1952년 4월 23일 새벽 2시쯤. 강원도 통천군의 한 해변에서 북한 인민군 소속 김형갑 분대장은 탈출을 감행했다. 낮에 모래밭에 파묻어 놓았던 노를 찾자마자 고깃배 하나에 몸을 맡긴 채 바다를 건넜다. 얼마 후 배는 미군 군함과 만났다.

 다음 달 서울대에서 명예졸업장을 받는 고(故) 김형갑(1930~93·사진) 캐나다 마니토바대 교수(전기공학)의 6·25전쟁 시절 일화다. 김 교수의 인생 역정은 파란만장하다. 서울대생→인민군→전쟁포로→캐나다 교수의 삶을 살았다. 그의 인생엔 굴곡진 한국 현대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1950년 7월 서울대 49학번 전기과 학생이던 김 교수는 서울에 있다 인민군에 강제 징집됐다. 이후 북한군의 전세에 따라 평양·강계·중국 훈춘 등을 돌며 전쟁을 겪었다. 52년 인민군에서 탈출한 후엔 전쟁포로가 돼 부산의 한 포로수용소에 수감됐다. 그해 7월 이승만 대통령의 사면으로 석방된다.

 그러나 불운은 계속 이어졌다. 모교인 서울대에서 제적당하고 만 것이다. 북한군 전력이 발목을 잡았다. 김 교수는 정신적 충격을 받았지만 몇 년 뒤 가족의 권유로 이리 공대(전북대 공대 전신)에 들어갔다. 졸업 후 58년엔 미 정부 장학생으로 유학을 떠났다. 펜실베이니아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김 교수는 65년 캐나다 마니토바대 교수가 된 후 27년간 근무하다 지난 93년 별세했다.

 김 교수의 사연은 최근 그의 고향 친구이자 대학 동기인 유태용(82) 한국방재협회 명예회장에 의해 알려졌다. 유 회장은 지난달 서울대 측에 장학금을 기부하며 김 교수의 사연에 대해 말했고 서울대 측은 김 교수에게 명예졸업장을 수여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김 교수가 북에서 탈출한 지 60년 만이다.

 그의 전쟁 경험은 『나의 편력-내가 겪은 6·25』란 회고록에 담겨 있다. 부인 송영순(74)씨와 조카 김준철(74)씨가 김 교수의 유고를 정리해 만들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