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당권 잡은 박근혜파, 독선은 안 된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황우여 대표 등 새누리당 새 지도부가 선출됐다. 이로써 당은 5개월간의 박근혜 비대위원장 체제를 끝냈다. 2010년 6월 지방선거부터 당은 ‘참패의 늪’에 빠졌고 지난해 연말 극도의 혼미와 불안 속에서 비대위를 출범시켰다. 당은 4·11 총선에서 여대야소(與大野小)를 지켜내면서 기사회생했다. 자신의 성공보다는 김용민 막말파동 등 상대방의 실패 덕분이었다. 지금 진보당 사태 속에서 야권연대가 흔들리면서 여당의 득세는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집권 새누리당의 짐은 무거우며 갈 길은 험하다. 이명박 정권은 대통령 측근 비리에다 민간인 사찰 사건의 여파로 계속 동력을 잃고 있다. 유로존 위기 등 외부 경제환경은 여전히 불안하다. 김정은 북한 세습체제는 호전적·도발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 150석이지만 당은 의회에서도 새로운 국회운영법으로 인해 야당의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다.

 새누리당은 정권의 파행을 최대한 견제하면서 야당을 이끌고 ‘대선의 해’를 헤쳐나가야 한다. 내부적으로는 공정하고 화합적인 경선을 통해 대선후보를 정하고 그를 중심으로 당력을 총 동원해야 한다. 외부적으로는 안철수 교수를 포함한 총체적 야권연대 가능성에 맞서야 한다. 당은 중도를 아우르는 보수·우파 정권의 국정담당능력을 다시 입증함으로써 정권을 재창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새누리당은 당내 분열의 비극을 여러 차례 겪었다. 1997년 김영삼·이인제와 이회창의 대립, 2008년 친이계의 친박계 학살로 인한 내전(內戰)을 치렀다. 야권은 공동정부까지 거론하며 무조건적인 연대의 야심을 키우고 있다. 새누리당이 정권 재창출에 성공하려면 분열의 교훈을 상기해 단합을 이뤄내야 한다. 국정중심세력의 단합이란 대의(大義)에 견줘보면 경선제도 갈등이나 당권배분 같은 건 작은 것이다.

 ‘책임 정치’ 차원에서 보면 주류 친박계가 대표와 원내대표를 맡는 건 자연스러운 것이다. 그러나 책임 정치가 독선 정치로 흘러선 안 된다. 친박계는 비주류 친이계의 목소리를 경청하면서 그들이 일정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한다. 새누리당은 분열이란 사치를 즐길 여유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