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흙 쌓여” 바닷물 트자는 충남 … “농수로 못써” 안 된다는 전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금강은 전북 장수군의 뜬봉샘에서 발원해 1000리 가까이 흘러간다. 강은 무주~금산~공주~부여~익산~서천~군산 등 전북·충남을 고루 적신다. 하류의 강폭은 2㎞나 되고, 갈대밭이 무성하다. 겨울이면 수십만 마리의 가창오리 떼가 날아 와 화려한 군무를 펼치는 철새도래지로도 이름이 높다.

 이 금강을 놓고 전북과 충남이 4년째 갈등하고 있다. 강물의 수자원 활용과 바닷물 역류로 인한 홍수 예방을 위해 설치한 하굿둑이 논란의 중심이다. 전북 군산시와 충남 서천군을 연결하는 하굿둑은 길이가 1.8㎞에 이른다.

 충남 측은 하굿둑 때문에 금강 수질이 날로 악화되고 있다며 배수 갑문을 추가로 달아 해수(海水)를 유통시킬 것을 주장한다. 그러나 전북 측은 농·공업 용수 공급에 차질을 빚고 저지대의 침수 피해가 우려된다며 해수 유통을 반대하고 있다.

 14일 전북 군산·익산·김제시는 충남 서천군의 해수 유통 주장에 공동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지방자치단체는 “조성 목적에 맞게 제 역할을 하고 있는 하굿둑을 트자는 것은 말이 안 되는 소리”라며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중·상류의 오염원 해소를 위한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해수를 유통시킬 경우 농·공업 용수의 전면 중단으로 산업활동에 큰 지장을 주고, 충남·전북의 하류 저지대에 있는 7000㏊의 농경지 침수 피해가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2월 충남도와 서천군은 “하구에 연간 80만t의 토사가 쌓여 강물 흐름을 막기 때문에 수질이 나빠져 상·하류 생태계의 훼손이 심각하다”며 “금강살리기 차원에서 서천 쪽에 배수 갑문을 설치해 해수를 유통시켜야 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국토해양부는 서천군의 요청에 따라 2010년 3월부터 지난해 12월까지 ‘금강하구 관리체계 구축 연구 용역’을 실시했고, 지난달 23일 해수 유통 주장이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해수 유통을 할 경우 염분이 확대돼 취수장·양수장을 상류로 이전해야 하는데, 그 비용이 7100억~2조9000억원이나 든다는 것이다. 하지만 충남 측은 “용역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며 영산강·낙동강 유역의 지방자치단체와 손잡고 하굿둑들의 해수 유통을 대선 공약으로 반영시키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장대석 기자

◆금강하굿둑=전북 군산시 성산면과 충남 서천군 마서면을 연결한다. 1990년 준공됐다. 수자원 확보와 금강 상류지역 홍수 조절, 염해 방지, 교통 개선, 관광 개발 목적으로 건설됐다. 총 저수량 1억3800만t의 호수가 생겨 충남·전북에 연간 3억4000만t의 농·공업 용수를 공급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