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숙종 때 세계지도, 60년 만의 귀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우리나라에 최초로 전래된 세계지도인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의 기증식이 27일 원 소장처인 경기도 남양주시 봉선사에서 열렸다. 김문수 경기지사(왼쪽)와 봉선사 주지 정수 스님이 지도를 살펴보고 있다. 곤여만국전도는 1602년 조선에 전해진 세계지도로 1708년(숙종 34년) 2점의 필사본이 제작됐다. 이 중 초고본(보물 849호)은 서울대에 소장돼 있고, 어람본은 봉선사 소장 중 한국전쟁 때 화재로 소실됐다. 이번에 복원한 것은 어람본으로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이 1931년 흑백 사진을 바탕으로 복원한 것이다. [남양주=연합뉴스]

한국전쟁 중 화재로 유실됐던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가 복원작업을 마치고 60여 년 만에 원래 소장처인 남양주 봉선사로 돌아갔다. 경기도는 27일 봉선사에서 김문수 경기지사와 봉선사 주지 정수 스님 등 불교계·학계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곤여만국전도 기증식’을 열고 지도를 전달했다.

 곤여만국전도는 1602년 서양 선교사 마테오리치와 명나라 학자 이지조가 북경에서 목판으로 찍어 펴낸 서양식 세계지도다. 1603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됐던 이광정과 권희에 의해 처음 조선에 전해졌다. 원으로 표현된 이 지도는 세계를 사각형으로 인식하던 당시 사람들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 지도가 보급되면서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며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가 났다는 동북아시아의 전통적인 천문지리관이 붕괴했고 ‘지구(地球)’라는 말도 생겨났다. 조선 왕실은 김진여 등 당시 궁중 최고 화원과 지도 전문가들을 동원해 숙종 34년(1708년) 8월 초고본을 만들고 한 달 뒤 임금이 보는 어람본(御覽本)을 제작했다.

 경기도와 실학박물관은 지난해 5월 곤여만국전도 어람본 복원작업에 착수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돼 있는 곤여만국전도 어람본의 1931년 흑백 사진을 바탕으로 전문가 자문과 중국과 일본, 미국 등에 소장된 곤여만국전도 목판본을 조사한 후 마모된 글씨와 채색을 복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