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신촌상권 어쩌다…경매시장서 ‘찬밥’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우리나라의 대표적 대학가 상권인 신촌. 신촌 상권이 예전만 못한 것 같다. 신촌 상가가 부동산 경매시장에서 찬밥 신세다.

경매로 나온 물건 수가 가장 많지만 낙찰률은 10%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원경매정보 전문업체인 부동산태인이 올 1분기 서울 5대 상권(명동·종로·홍대·강남역·신촌)의 상가 경매 물건을 조사한 결과다.

경매에 나온 신촌 상가는 총 64개로 5대 상권 중 가장 많았지만 낙찰률은 9.38%(6개 낙찰)에 그쳤다. 이웃한 홍대상권의 낙찰률이 9.09%(11개 중 1개 낙찰)로 신촌보다 낮지만 물건 수가 신촌에 비해 6분의1 수준이어서 직접 비교는 힘들다는 게 부동산태인의 설명이다.

신촌상권 약세 뚜렷

반대로 낙찰률이 가장 높은 곳은 종로상권으로 42.86%(28개 중 12개 낙찰)를 기록했다. 이는 관철동과 인사동 상권의 위력이 여전하고 최근 삼청동길 상권이 각광받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명동상권은 23.53%(17개 중 4개 낙찰), 강남역상권은 18.18%(55개 중 10개 낙찰)의 낙찰률을 기록했다. 이처럼 신촌상권의 낙찰률이 저조한 것은 신촌상권의 위상이 예전만 못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신촌은 10여 년 전만 해도 ‘X세대’로 대표되는 젊은층이 몰려들면서 서울에서도 내로라하는 거대상권이었다. 그러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기점으로 이웃한 홍대상권에 주도권을 빼끼면서 뇌쇠화가 감지됐다.

이 같은 현실은 상권별 유찰률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5대 상권의 1분기 유찰률을 산출한 결과 신촌상권 유찰률은 87.5%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홍대 72.73%, 강남역 65.45%, 종로 57.14%, 명동 52.94% 순이었다.

낙찰가율도 5대 상권 중 신촌이 가장 낮았다. 신촌상권 낙찰가율은 53.58%로 겨우 감정가액의 절반을 넘는데 그쳤다. 같은 기간 강남역상권은 85.65%, 종로상권은 69.5%의 낙찰률을 각각 기록했다.

부동산태인 정대홍 팀장은 “아파트나 연립 등 주거시설과 달리 상가 등은 소속 상권의 위상이 수익 창출과 지결된다”며 “때문에 상가 물건뿐 아니라 주변 상권에 대한 조사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