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해 시절 가난·굶주림보다 망국노 놀림이 더 서러웠다”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59호 01면

“가난과 배고픔보다 망국노(亡國奴·나라를 잃은 노예)란 놀림이 더 서러웠어.”
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 백암 박은식(1859∼1925년) 선생의 며느리 최윤신(94·사진) 할머니. 그가 상하이(上海)에서 겪은 어린 시절을 회고하며 던진 말이다. 백암 선생은 상해임시정부의 2대 대통령을 지냈다.

삼일절 93주년 독립운동가 박은식 선생의 며느리 최윤신 여사 인터뷰

중앙SUNDAY는 3·1운동 제93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가 집안에서 태어나 독립운동가 집안의 며느리로 한평생을 살아온 최 할머니를 만났다. 독립운동가의 신산(辛酸)했던 삶과 민족교육의 뿌리를 되짚어보기 위해서였다. 당시 상하이에는 800여 명의 한인이 거주했다. 교육의 중심은 한국혼(韓國魂)과 덕지체(德智體)를 모토로 한 ‘인성(仁成)학교’였다.

최 할머니는 네 살 때 상하이로 가서 25년간 중국 생활을 했다. 부친 최중호 선생은 백범 김구 선생과 독립운동을 하다 상하이로 망명했지만 43세(1934년)의 젊은 나이에 폐병으로 숨졌다. 어머니가 신문배달, 떡장수, 냉면집 등 온갖 궂은일을 하면서 2남2녀를 키웠다. 상하이 생활을 묻는 질문에 최 할머니는 “밥 굶는 게 보통이었고 배고파서 눈물을 질질 짜며 학교에 갔지. 고생한 것밖에 기억나지 않아”라고 말했다. 아버지 약값을 벌려고 인성학교(초등학교 과정) 졸업 후 프랑스 자수(刺繡) 놓는 일을 해야 했다. “자수를 일주일 놓으면 1원 받았어. 그걸로 약값을 댔는데 내가 학교에 못 가서 울면 아버지가 많이 속상해하셨지.” 당시 운동화 값이 20전이었으니 1원이면 큰돈이었다.
그러나 더 기막힌 일이 있었다. 인성학교를 졸업한 뒤 프랑스 가톨릭교단에서 세운 효명(曉明)학교에 진학했는데 ‘한국 망국노’라는 말을 듣게 된 것이다. “거기서 배운 과목 중 중국 역사가 제일 싫었어. 책에는 ‘한국이 왜놈한테 나라를 뺏겼다’고 나와. 중국 애들과 말다툼이라도 벌이면 ‘망국노∼ 망국노∼’ 하고 놀리는 거야. 나라 없는 설움, 기가 막혔어. 대꾸할 말도 없다는 게 더 화났어.”

인성학교는 이역만리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세운 학교였다. 학생 수는 가장 많을 때가 70여 명이었다. 전체 졸업생 숫자가 19년간 240명 남짓이다. 최 할머니는 “내가 1학년 때 교장은 여운형 선생, 졸업할 때는 김두봉 선생이었어. 졸업생 수가 우리 오빠(본명 최윤상·중국 이름 崔采) 때는 세 명, 나는 다섯 명이었지.” 어린 학생들의 눈에도 교사들의 생활은 참혹했다. “아침 8시에 가면 너덧 시간 공부했어. 근데 선생님이 부족하니까 자습 많이 했어. 선생님 한 분이 방 하나에 커튼을 쳐놓고 두 학년을 가르치니까…. 선생님들은 다 무보수였어. 선생님들도 배가 고팠을 텐데 열성껏 가르쳤어.” 교사들은 대부분 독립운동가였다. 별도의 생업을 갖고서 ‘새 나라의 인재’를 키우는데 혼신의 힘을 쏟았다.

인성학교에선 1930∼40년대 독립운동 세력을 갈라놓았던 좌우 대립도 없었다. 초대 교장 선우혁(1882∼미상) 선생 이후 손정도 목사와 여운홍(여운형의 동생)·안창호 선생이 번갈아 교장에 취임했으며 북한행을 택한 김두봉 선생도 5년 남짓 교장을 맡았다. 교사·졸업생 가운데도 좌익운동을 하다 북한으로 갔거나 중국에 귀화한 사람이 적지 않다. 최 할머니는 “김두봉 선생은 국어를 가르쳤어. 김원봉 선생과 함께 이북으로 가 김일성한테 다 소탕당했지”라고 덧붙였다. 또 “안중근 의사 동생(안공근)의 둘째 딸(안금생)이 한지성과 결혼했는데, 공산당 지하공작을 하던 한지성은 6·25 때 북한군이 서울을 점령하자 서울부시장까지 했다”고 말했다. 최 할머니의 오빠도 항일전쟁에 나섰다 1941년 팔로군에 참가해 4년 후 중국공산당에 입당했다.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 설립을 주도한 데 이어 지린(吉林)성 전인대 상무위 부주임까지 지내다 2006년 세상을 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