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날아갈 듯 그 추녀선 12월 다시 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국보 1호 숭례문이 올해 제 모습을 찾는다. 화염에 휩싸인 지 만 4년이 흐른 10일 오전 서울 숭례문 현장에서 복구 설명회가 열렸다. 화재 이후 수습·조사·준비에 2년이 걸렸다. 복구 공사의 첫 삽을 뜬 건 화재 2주기였던 2010년 2월 10일이었다. 이후 2년간 숭례문은 전통기법을 적용하는 거대한 실험장 노릇을 해왔다.

 이날 현장에서 눈길을 끈 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전통 기와와 단청이었다. 반짝이는 공장기와를 머리에 얹은 숱한 옛 건축물은 한복을 입고 중절모를 쓴 듯 어색한 게 사실이었다.

한형준 제와장(製瓦匠·중요무형문화재 91호)이 구워낸 전통기와는 은회색으로 공장기와보다 은은한 빛깔을 냈다. 전통기와를 제작하기 위해 충남 부여 한국전통문화학교에 복원한 재래식 가마에서 구워낸 것들이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창대 전수조교는 “용문양이 새겨진 암막새 표본 하나를 만들기 위해 8개월간 다섯 번이나 문양을 바꿔가며 실험했다”고 말했다. 전통 기와는 정으로 두드리니 쇳소리가 났다. 기와를 깬 단면엔 육안으로도 숨구멍이 보였다. 물을 99% 튕겨내는 공장 기와보다 흡수율(10~12%)이 높은 대신 20% 정도 가볍다. 표면엔 탄소코팅을 해 빗물을 빨리 배출하게 한다.

 단청도 흔히 쓰이는 화학안료 대신 천연안료를 사용한다. 홍창원 단청장(중요무형문화재 48호)은 “안료 원석을 분쇄한 뒤 물에 넣어 잔가루를 걸러내면 거를 때마다 색이 옅어져 같은 녹색이라도 12가지까지 나온다”고 설명했다. 천연안료는 한 번 발라서는 색이 잘 나지 않는다. 두 번 이상 반복해 발라야 제 색을 내고 오래간다. 색이 곱고 목재 표면 통풍을 원활하게 하는 것도 특징이다.

 숭례문 복원은 전통 재료·기법의 부활을 키워드로 삼았다. 일일이 다듬은 돌로 성곽을 복원하고, 못·정 등 철물도 전통 대장간에서 옛 방식으로 제작하고 있다.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재현하려는 취지다. 현재 공사는 75%가량 진행된 상태다.

상량식(上樑式·기둥을 세우고 보를 얹은 다음 마룻대를 올리는 의식)은 다음 달 8일 열린다. 문루(門樓) 조립은 4~5월께 완료된다.

김찬 문화재청장은 “일제에 훼손된 성곽까지 복원해 숭례문의 원래 모습을 올 연말까지 국민에게 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