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 세계 ‘트위터 블랙아웃’ 시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하루 2억 개 이상의 트윗이 올라오는 트위터에 28일(미 현지시간) 잠시 ‘정적’이 흘렀다. 대신 ‘#TwitterBlackout’ ‘#TwitterCensored’라는 해시태그(hashtag·특정 키워드를 공유한다는 표시)를 단 글들이 올라왔다. 한국어·영어·아랍어 등 다양했다. 26일 트위터가 국가별 트윗 삭제 방침을 밝히면서 이에 반대하는 온라인 시위가 전 세계적으로 벌어졌기 때문이다.

미 의회의 온라인 규제에 항의했던 ‘위키피디아 블랙아웃’과 비슷한 ‘트위터 블랙아웃’이다. 차이는 트위터 측에 항의하는 이용자의 반대시위였다는 점이다.

 트위터는 “(각 국가에서) 적절하고 합법적이라고 생각되는 요청을 받은 경우에 한해 특정 콘텐트를 제한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자들은 이것이 사실상 검열 방침이라고 반발했다. 중국 반체제예술가 아이웨이웨이는 “트위터가 검열을 한다면 나도 트위터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집트 인권 운동가 마흐무드 살렘은 “트위터가 우리(이용자)를 배신했다”고 격분했다. 국내에서도 이날 일부 파워트위터러들이 ‘트위터 블랙아웃’ 동참을 밝히면서 이용자들의 트윗 게시가 대폭 줄었다.

 그러나 전면적인 트윗 거부는 이뤄지지 않았다. 오히려 트위터의 새 방침이 ‘트윗은 계속돼야 한다(Tweets must flow)’로 대표돼 왔던 기존 입장과 배치되지 않는다는 반론도 나왔다. 그동안은 저작권 침해 등 문제 트윗을 트위터가 임의로 삭제해 왔지만, 이젠 문제 트윗을 다른 나라에서는 볼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예컨대 프랑스와 독일에서 법으로 금지된 나치 옹호 내용이 트위터에 올라오면 이들 나라에선 트윗이 삭제되지만 다른 나라 이용자들은 볼 수 있게 된다. 트위터 측도 “트윗을 국가별로 삭제하되 검열 반대 웹사이트인 ‘칠링이펙트(Chillingeffects.org)’에 이 사실을 공개한다는 점에서 오히려 투명해졌다”고 강조했다.

 그럼에도 이용자들은 각국 정부가 반체제 트윗을 검열하는 수단에 트위터가 협조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지난해 ‘아랍의 봄’부터 ‘월가를 점령하라’ 시위까지 대중의 네트워크 수단으로서 성장한 트위터가 각국 정부의 검열 요청을 수용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시각이다.

국제 언론감시단체인 ‘국경 없는 기자회(RSF)’는 트위터의 공동창업자인 잭 도시에게 항의 서한을 보내 “압제국가의 사이버 반체제 인사들에게서 귀중한 조직 수단을 박탈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IT 분석가들은 트위터의 이번 방침이 이용자 10억 명을 목표로 각국 진출을 서두르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것이란 데 주목했다. 구글이 중국 진출 때 예외적으로 검열을 수용했던 것처럼 트위터가 사세 확장을 위해 ‘비즈니스 현실론’과 타협했다는 것이다. LA타임스는 “트위터도 다른 인터넷기업처럼 확장에 대한 경제적 욕망과 각국 검열정책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중”이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