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늘어도 국민 체감 못한다

중앙일보

입력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은 높으나 실제로 국민이 느끼는 소득 증가세는 이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분기 GDP 성장률은 9.6%를 기록했으나 실제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인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 증가하는 데 그쳤다.

GNI 증가율은 한 때 GDP 성장률과 동반 상승세를 보여왔으나 지난해 3분기 이후 뚜렷이 낮아지고 있다. 생산이 늘어도 국민의 실질소득 증가로는 이어지지 않는다는 뜻이다.

실질소득 증가율이 이처럼 급격히 낮아진 것은 국제 유가 인상 등으로 우리나라의 교역조건이 크게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국에서 많이 사오는 물건 값이 급격히 오르면 GNI는 덩달아 감소할 수밖에 없다. 예컨대 자동차 한 품목만 수출해 석유를 수입하는 나라의 경우 자동차 수출가격은 그대로인 상태에서 국제 유가가 두배로 오르면 GNI는 절반으로 줄어든다. 교역조건 악화에 따라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소득이 절반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올 2분기 중 평균 수입단가에 비해 수출단가가 어느 정도인가를 보는 교역조건지수(1995년〓100)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7% 떨어진 72.6을 기록했다.

이는 80년 1분기(- 15.1%)이래 최대 하락폭이다. 아직 우리 경제가 싼 물건을 많이 팔고 비싸게 수입하고 있다는 뜻이다.

◇ GNI=국민이 피부로 느끼는 경기를 보다 잘 반영하는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인다. 1년간 한나라 국민이 국내에서 생산한 재화와 용역의 총량을 GDP라고 한다.

여기에 해외에서 우리 국민이 벌어들이는 이자.근로.배당소득을 더하고 국내에서 외국인들이 벌어가는 이자.근로.배당소득을 뺀 것이 국민총생산(GNP)이다. 여기에다 교역조건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구매력의 증감을 반영한 것이 GNI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