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혜영, 국정원장 교체 요구 … 이 대통령 “정부에 맡겨 달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10분 정도였다. 22일 오전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황우여 원내대표, 민주통합당 원혜영 공동대표와 김진표 원내대표가 인사를 나누는 장면이 공개된 시간 말이다.

 이 대통령은 이때 “정치권이 협조해줘서 고맙다”는 취지의 말을 5차례나 했다. 박 위원장을 향해서도, 원 대표에게도 그랬다. “날씨가 추운데 오시게 됐다”는 인사말을 건네며 참석자들과 일일이 악수도 했다.

 그래선지 초반엔 “돌발상황을 맞아 대통령이 신중하고 균형 있게 대응해 국민이 안심하는 것 같다”(박 위원장), “정부 대응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원 대표)는 ‘덕담’이 오갔다. 그러나 비공개 자리에선 날카로운 얘기들도 오갔다고 한다.

 ▶박 위원장=정부가 모든 시나리오도 포함한 장기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북한의 특성상 어려운 측면이 있겠지만, 대화채널을 포함한 대북 정보체계에 대해 국민이 걱정하고 있다.

 ▶이 대통령=김정일 위원장의 사망을 발표 전에 모른 건 사실이지만 우리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몰랐다. 우리 정보력이 그렇게 취약하진 않다. 한·미 정보공유도 대단히 잘되고 있다.

 ▶원 대표=중국과의 외교관계가 원만치 못하다.

 ▶이 대통령=내년 중국에 첫 국빈방문을 할 예정이다.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이번 사태와 관련해서 다른 어느 나라와도 직접적으로 통화하지 않았다. 중국이 외교장관들끼리 통화하자고 해서 통화를 했다. 북한 문제와 관련된 소통은 잘되고 있다.

 ▶김 원내대표=국민불안을 해소하려면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등 통일외교안보라인을 교체해야 한다.

 ▶이 대통령=정부에 맡겨 달라.

 ▶원 대표=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등 민간 조문을 적극 허용해야 한다.

 ▶이 대통령=(북한 조문을) 지금이 아니더라도 나중에 갈 수 있는 거 아니냐. 국론이 분열되면 바람직하지 않아 협조를 요청하는 거다. (조의하고 일부 조문을 허용한) 정부 조치에 반대하는 분도 많다. 탈북자나 KAL·아웅산테러 유족 등 피해당사자들이 있는데, 그분들을 다 설득해서 한 거다. 원칙이 훼손되면 대단히 곤란하다. 야당에서 이해해달라.

 이 대통령은 여야가 국회 정상화 조건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촉구결의안을 채택하기로 한 데 대해 “국회에서 결의안까지 할 필요가 있느냐. 국격을 따져 신중히 해달라”고 당부했다고 한다.

 이 대통령은 이후 박 위원장과 따로 20여분간 만났다. 박 위원장은 “(내가) 당 중책을 맡고 처음이라 따로 티타임을 갖는 게 좋지 않을까 해서 (이 대통령이) 일부러 신경 쓴 것 같다”며 “현 시국과 관련해, 예산 국회가 진행되는 것과 관련해 말씀 많이 들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분위기가 좋았냐”는 질문에 말 대신 웃음을 지어 보였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