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은 많을 수록 좋다고? No! 7만5000달러일 때 가장 행복. 그 이상 받으면 불행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학과 결혼이 행복의 필수조건일까. 연봉은 많을 수록 좋지 않을까.

앞의 문장은 맞다. 뒤는 틀렸다. 적어도 최근 조사에 의하면 그렇다.

대학에 가고, 결혼을 하고, 연봉 7만 5000달러(한화 약 8550만원) 정도를 벌 수 있을 정도의 직업을 가진 사람이 가장 행복할 확률이 높다는 것이 미국 연구조사 결과다.

미국 프린스턴대 경제학자 앵거스 디톤과 2002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다니엘 카네만(심리학과) 교수가 2008~2009년 미국 성인남녀 45만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갤럽과 헬스웨이의 행복지수(well-being index) 설문조사를 분석했다. 이 연구 논문은 20일 `갤럽 매니지먼트 저널`에 수록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자기의 인생을 평가할 때 성취여부를 따지는 경향이 있다.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했다면 재정적 안정과 정서적 충만을 느끼며 더 나은 삶을 누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카네만은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가진다는 것은 삶의 만족에 필수적 요소"이지만 반대로 "당신이 달성할 수 없는 목표를 세우는 것은 인생을 실패로 몰아가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람들은 사회적 접촉을 통해 정서적 안정을 누리고 유지한다. 디톤은 "정서적 행복은 일차적으로 사회적인 것"이라며 "사람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 중에 가장 좋은 것은 좋아하는 사람들과 시간을 갖이 보내는 것이며 그 때 가장 행복해한다"고 밝혔다. 명확한 수치에 근거한 것은 아니었지만 실제로 300여년 전 독일철학자 임마뉴엘 칸트는 "사람이 가장 행복할 때는 사랑하는 사람과 밥을 먹는 순간"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가장 생활비가 비싼 도시에서 조차 연봉 7만 5000달러가 사람을 행복하게 해 줄 수 있는 한계효용선이라는 사실이다. 이보다 많은 돈을 받으면 오히려 덜 행복하다는 것이 연구결과다. 디톤과 카네만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데이터가 분명히 이를 말해준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는 이미 `경제심리학`에서 설명된 바 있다. 미국 듀크대의 댄 애리얼리(Dan Ariely) 교수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학생을 대상으로 인센티브의 규모와 성과에 대해 연구한 결과 지식기반중심의 업무를 하는 사람들은 인센티브가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댄 교수는 그 이유를 "인센티브가 많아지면 감시와 평가에 대한 스트레스가 크게 작용해 자율적인 동기부여가 떨어지며, 이것이 생산성 하락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또 카네만 교수 같은 행태경제학자들은 "인간은 극대화 추구자(maximazer)가 아니라 만족 추구자(satisfier)이며 언제나 `최선`의 선택이 아니라 단지 `충분히 좋은` 선택을 한다"는 이른바 `만족 원칙`을 밝혀냈다.

이원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