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스페셜 리포트] 유럽 ‘그랜드 플랜’ 완성, 중국에 달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유로존(유로화 사용권) 그랜드 플랜(위기 대책)이 성공할 것인지가 중국 손에 달리게 됐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 등은 27일 새벽(한국시간) 그랜드 플랜을 내놓았다. 난산이었다. 채권 금융회사 대표인 찰스 달라라 국제금융협회(IIF) 회장이 “그리스에 꿔준 돈을 50%까지 포기할 순 없다”고 버텼다. 달라라는 “우리 회원(채권 금융회사)들은 40% 정도는 받아들일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메르켈과 사르코지가 “100% 떼이게 만들겠다”며 으름장을 놓자 그는 두 손을 들었다. 블룸버그 통신은 협상 관계자의 말을 빌려 “채권자 고통분담(헤어컷) 비율이 사실상 50%로 타결됐다”고 전했다.

 그 결과 그랜드 플랜이 얼추 완성됐다. 채권 금융회사들은 고통을 분담한 대가로 각국 정부의 보증을 받아 내년 6월까지 자본을 유치해 핵심 자본비율을 9%까지 올린다. 유로존은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을 최대 1조 유로(약 1580조원)까지 증액하기로 했다.

 이날 프랑스계 AFP통신은 “유럽중앙은행(ECB)의 증액에 참여하지 않아 사르코지 대통령이 중국의 도움을 받기 위해 후진타오(胡錦濤) 주석과 전화 통화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마침 클라우스 레즐링 EFSF 대표가 28일 베이징을 방문한다. AFP 통신은 “중국이 EFSF 참여에 긍정적”이라고 보도하기까지 했다.

 정작 중국 쪽은 조용하다. 중국 관영언론을 비롯해 각종 경제 매체들은 중국이 기금 확충에 참여할 것인지 등을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베이징의 금융 관계자는 “중국 정책 담당자들은 어떻게 EFSF에 돈을 대는 게 이익을 극대화할지를 놓고 저울질이 한창”이라고 귀띔했다.

 중국은 직접 지원보다 국제통화기금(IMF) 추가 출자를 통해 EFSF 증액에 참여하는 쪽을 선호한다. 중국의 추가 출자는 IMF 지분구조를 뒤흔들어 놓을 수 있다. 미국과 영국이 반발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또 중국은 유럽으로부터 ‘시장경제 지위국’ 인정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은 시장경제 지위를 얻지 못해 종종 유럽연합(EU)으로부터 반덤핑 혐의로 제소당하곤 했다.

홍콩=정용환 특파원, 강남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