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공개하는 백제왕비 주검 받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무령왕릉에서 나온 왕비 머리받침. 적외선 사진을 분석해 무늬와 색깔을 되살린 모사도도 전시된다.

‘무엇에 쓰는 물건인고?’

 연구자들은 무령왕릉에서 쏟아져 나온 유물더미를 파헤치며 고개를 갸웃거려야 했다. 무령왕릉은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발굴이라 손꼽힌다. 하지만 1971년 당시 현장에 들이닥친 취재진과 주민들 때문에 이틀 만에 서둘러 조사를 끝내버렸다. 40년이 흐르는 동안 유물은 서서히 정리됐다. 과학으로 무장한 신세대 연구자들은 발굴단이 허겁지겁 쓸어 담은 먼지더미 안에서 보물을 발견했다.

 국립공주박물관(관장 김승희)은 무령왕릉 발굴 40주년을 맞이해 특별전 ‘무령왕릉을 격물(格物)하다’를 8일 개막했다. 내년 1월 29일까지 열리는 전시에는 71년 발굴 당시 보고되지 못했거나 새롭게 분석된 사실이 소개된다.

 왕비의 주검받침(屍牀)은 관에 쓰인 나무 재료를 몇 년 간 정리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옛 왕비의 시신을 관에 안치할 때 널빤지 형태의 주검받침에 시신을 올리고 머리받침(頭枕)과 발받침(足座)을 받친 것이다. 두침과 족좌는 세월을 이기지 못해 빛이 바랬다. 전시에는 적외선 사진에서 드러난 먹선 등을 종합해 보이지 않는 문양까지 되살려낸 모사본이 나란히 전시된다. 유혜선 학예연구실장은 “두침과 족좌는 유물 보존을 위해 10월에만 특별 공개한다”고 말했다.

 왕릉 석실 바닥에서 긁어 모은 티끌에선 은어의 척추뼈 141점과 다른 생선 뼈 조각 136점도 확인됐다. 검은 목걸이와 동물모양 장식, 대추모양 옥 등 180여 점은 기존에 숯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성분 조사 결과 흑옥(黑玉)임이 확인됐다. 28·29일에 국제학술대회가, 19일부터 6주간 매주 수요일에 일반인 대상 강연이 열린다. 041-850-6300.

이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