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인력 수급계획 연내 수립

중앙일보

입력

정부는 산업구조 변화에 부응하는 과학기술 인력공급을 위해 금년말까지 중.장기 과학기술 인력 수급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또한 유엔 해양법 협약의 발효 등 어업환경 변화에 맞춰 현재 추진중인 어업구조개선사업을 전면 재검토, 올 11월까지 현실성있는 종합계획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19일 박태준 총리 주재로 재경, 교육, 과학기술부 등 관계부처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책평가위원회 합동보고회를 열어 과학기술 인력 및 어업구조 분야에 대한 정책과제를 확정했다.

정책평가위원회는 보고회에서 지난해 대졸자중 사회계 출신의 취업률이 70.7%에달한 반면 이학계와 공학계 출신의 취업률은 각각 49.9%, 64.6%로 저조한 양상을 보인 것은 과학기술교육이 산업현장 중심의 인력양성에 실패했음을 반증하는 것일뿐아니라 생명공학, 환경, 항공.우주 등 수요급증 분야에 대한 수급체계도 마련돼 있지 않는 등 총체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에따라 중.장기 과학기술 인력 수급계획을 수립하는 동시에 산.학 연계 프로그램 확대를 위한 다양한 유인책을 도입하고 대학 교과과정도 산업현장의 수요를 반영, 전면 개선하기로 했다.

또 국가인력정책 조정기구인 인적자원개발회의가 과학기술 인력 정책에 대한 조정기능을 담당토록 하고 해외로 유출된 과학기술 인력 및 외국 전문인력을 국내에유치하는 방안도 적극 강구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수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어항 등 어업기반시설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되 지역안배를 철저히 배제하는 등 사업 추진의 우선순위를 설정,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