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커지는 반기업 정서 … 일자리는 누가 만드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기업 호감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대한상의와 현대경제연구원이 전국 성인 20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올 상반기 기업호감지수(CFI·100점 만점)는 50.8점으로 지난해 하반기(51.5점)보다 더 낮아졌다. 지난해 상반기는 54점이었다. 응답자들은 기업들의 국제경쟁력에 대해서는 높게(82.8점) 평가했으나 국가경제 기여도는 간신히 50점을 넘는 점수만 줬다. 사회공헌은 37점, 윤리경영은 23점으로 낙제점을 받았다.

 이런 조사 결과는 기업들의 다양한 활동이 국민들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거에 비해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투명회계와 정도 경영에 힘을 쏟고 있으나 받는 점수는 더 하락하고 있다. 시민들의 기대수준이 더 높아진 요인도 있을 것이다. 우리 사회에 부는 반(反)기업 정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번 조사에서도 ‘우리나라에 반기업 정서가 높으냐’는 질문에 64%가 ‘그렇다’고 답했다. 빈부격차와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좌파와 그 언저리에서 나오는 목청은 점점 커지고 거칠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의 소리를 증폭시키는 매체들도 있다.

 대기업들이 스스로 욕먹을 일을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골목길 상권까지 넘보고, 소비주의에 편승해 외국의 유명 브랜드를 가져와 손쉽게 장사한다. 덕분에 토종 기술이나 디자인은 설 땅이 없다. 계열사를 꾸준히 불림으로써 문어발 경영이라는 비난도 사라지지 않는다. 오너 2세들에게 새 기업을 맡기고 그룹 내 일거리를 밀어주는 행태도 마찬가지다. 우리 사회의 이익을 30대 기업이 싹쓸이한다는 논란도 벌어지고 있다. 여기에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의 대기업 두들기기는 심해지고 있다. 서민경제가 팍팍해지면서 그들의 표를 의식한 포퓰리즘 발언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는 대기업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로 이어지곤 한다. 이런 환경에선 기업을 보는 국민의 눈이 호의적으로 바뀌기 어렵다.

 학교교육도 문제다. 반기업 의식을 불어넣는 교사들이 적지 않고, 교과서는 여전히 좌편향적이다. 기업을 일군 사람들 얘기는 없고 노동운동가 추앙이 먼저다. 며칠 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쓴소리를 했다. “현행 고교 한국사 교과서 6종 모두 청계천 의류공장 노동자 전태일 분신사건에 많은 지면을 할애한다. 반면에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자나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자를 소개한 교과서는 1종에 지나지 않고, 그것도 간략한 사진설명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정도가 아니다. 경제발전 결과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아지고 농촌은 피폐해졌으며 산업불균형은 심화됐다고 쓰여 있다. 2008년 금성출판사 등이 펴낸 한국사 교과서에 우리 체제를 부정하는 대목이 많다는 지적에 따라 새로 제작된 것이 이 모양이다.

 누가 뭐라든 기업은 경제정책의 핵심 목표인 고용 창출의 주역이다. 이번 응답자들도 기업에 바라는 최우선 과제로 거의 절반이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반기업을 외치는 집단일수록 고용 창출 능력은 제로에 가깝다. ‘최고의 복지’라는 일자리 만들기에 더욱 힘을 쏟을 수 있도록 기업인을 더욱 격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