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하늘다람쥐와 함께하는 ‘친환경 올림픽’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2전3기’ 끝에 2018년 겨울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평창유치위원회 대표단이 어제 온 국민의 박수를 받으며 귀국했다. 한나라당 황우여, 민주당 김진표 원내대표는 평창 동계올림픽 지원특별법 제정과 관련 국회특위 구성에 합의했다. 평창 올림픽처럼 여야 정치권과 재계·스포츠계 등 사회 전체가 한마음으로 성원한 이벤트도 드물 것이다. 이제 성공적으로 겨울올림픽을 치러내는 일만 남았다.

 우리는 특히 평창 올림픽을 역대 최고의 ‘친환경 올림픽’으로 꾸며 두고두고 전 세계의 전범(典範)으로 남게 할 것을 촉구한다. ‘환경올림픽’을 전면에 내세운 1994년 릴레함메르(노르웨이) 겨울올림픽 이후 환경보호는 여름·겨울을 막론하고 올림픽 개최국의 중요한 과제로 자리 잡았다. 우리가 이미 치른 88년 서울 올림픽, 2002년 월드컵 축구대회는 대도시가 주무대였다. 평창 겨울올림픽은 다르다. 해발고도 750m에 전체 면적의 84%가 산지(山地)인 평창과 인구 20만 명 남짓한 강릉에서 치러지는 만큼 처음부터 자연환경을 제쳐놓고는 생각할 수 없는 이벤트다. 평창유치위원회가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정화, 폐기물 최소화, 수질(水質) 유지, 생태계 복원·개선 등 ‘친환경 프로젝트 4대 목표’를 정한 것도 그 때문 아니겠는가.

 대회 유치가 확정되자 벌써 남녀 스키 활강 경기 예정지인 가리왕산 중봉·하봉 슬로프 구간의 환경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유치위원회는 애초 2010년 대회 신청에 앞서 주목 군락지가 있는 가리왕산 정상(상봉·1561m)을 내정했다가 환경단체 등의 반발이 일자 중봉 쪽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이곳도 담비·삵·하늘다람쥐·한계령풀 같은 희귀 동식물이 서식하는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이다. 산림법 위반 문제는 국회가 특별법을 만들면 피해갈 수 있지만, 그게 본질이어선 안 된다. 인프라 설계 단계부터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대회 이전보다 나아졌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철저한 복원 대책을 세워 이행해야 한다. 98년 나가노 올림픽의 경우 크로스컨트리 대회장 예정지에서 보호종 매 둥지가 발견되자 코스 한 곳은 건설을 포기했다. 스키 활강 경기장 예정지의 고산 생태계 보호 문제로 국제스키연맹(FIS)과 대회 직전까지 줄다리기를 벌이기도 했다.

 물론 앞뒤 가리지 않고 무조건적인 환경보존만 앞세워 대회 준비 과정 자체에 시비를 거는 자세는 바람직하지 않다. ‘천성산 도롱뇽 소송’의 전말에서 보듯이, 교조적인 환경우선론은 정도가 아니다. 평창 겨울올림픽은 우리 사회 각 분야가 뜻과 힘을 모아 치러야 할 국가적 행사다. 환경과 사람, 인공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축제 마당으로 꾸미자. 그러려면 경기장·교통·숙박 등 모든 대회 인프라에 환경과 ‘지속 가능성’의 철학이 스며들어야 한다. 음료수 컵 하나, 경기관람권 한 장에도 친환경·자원절약 메시지가 담겨야 한다. 가리왕산 하늘다람쥐와 함께하는 친환경 올림픽을 반드시 성사시키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