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주택 40만 가구 공급한다

조인스랜드

입력

업데이트

[최현철기자] 올해 전국적으로 40만가구의 주택이 공급(인허가 기준)되며 이 가운데 25만가구가 수도권에 집중된다.

공공이 공급하는 보금자리주택은 총 15만가구이며 전월세 시장 안정을 위해 임대주택을 11만6000가구 공급한다. 보금자리 분양주택의 70~80%는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으로 공급한다.

국토해양부는 최근 주택정책심의위원회를 거쳐 이와 같은 내용의 `2011년 주택종합계획`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국토부는 올해 주택 수요를 수도권 25만가구, 지방 18만가구 등 총 43만가구로 예상했다. 그러나 현재 7만2천가구에 달하는 미분양을 감안해 올해 주택 인허가 목표를 40만4천가구로 잡았다.

이는 지난해 수립했던 목표물량(40만1000가구)과 비슷한 수준이고, 인허가 실적(38만7000가구)에 비해서는 1만7000가구 늘어난 것이다.

임대주택 11만6000가구…전년 대비 60% 확대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25만가구, 지방에 15만가구를 각각 공급한다. 지방의 경우 2~3년 전 공급 부족으로 집값이 크게 뛰고 있는 부산ㆍ대전 등지를 중심으로 공급 물량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ㆍ연립 등 분양주택이 28만8000가구이며, 임대주택은 전월세 시장 안정 등을 위해 지난해 실적(7만3000가구)보다 60%(4만3000가구) 늘어난 11만6000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다.

보금자리주택은 주택수요와 주요 공급주체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건설능력 등을 감안해 지난해 업무계획에서 정한 21만가구에서 6만가구 축소한 15만가구를 공급하기로 하되 수요가 많은 수도권에 11만4000가구를 내놓는다.

보금자리주택의 임대주택은 9만7000가구, 분양주택은 5만3000가구로 책정됐다. 국토부는 하반기에 6차 보금자리주택지구를 추가로 지정하고 시범지구인 고양 원흥 하남 미사에서 각각 9월과 11월에 본청약을 할 계획이다.

올해 그린벨트 지구에서 사업승인을 받을 물량은 4만1000가구로 추산됐다. 지난해까지 그린벨트에 서 사업승인을 받은 물량이 9만5000가구에 불과해 2012년까지 그린벨트에서 보금자리주택 32만가구를 공급하기로 했던 당초 계획은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서민주거안정을 위한 당초 취지의 맞게 보금자리주택의 주택형은 소형 위주로 재편된다. 분양주택의 70% 이상을 전용면적 60㎡ 이하로 공급하고, 60~85㎡는 분양주택의 30%를 공급하되 이중 상당수를 전용 74㎡ 이하로 줄이기로 했다.

국토부는 이와 함께 전월세 시장 안정을 위해 도시형 생활주택, 다세대ㆍ연립 등 소형 주택공급을 활성화하고, 단기간내 공급이 가능한 다세대주택을 민간이 신축할 경우 LH가 매입해 임대주택(연간 2만가구)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올해부터 추진하기로 했다.

박상우 주택토지실장은 "보금자리주택의 공급 취지에 맞게 서민들이 쉽게 주택을 구입할 수 있도록 주택형을 줄였다"며 "LH 등 공공부문의 인허가를 독려해 40만가구 목표 달성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