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대학 교직원도 등록금 고통 분담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우리 사회에서 대학 교직원은 선망의 대상이다. ‘신이 내린 최고의 직장’에 다닌다는 얘기를 들을 정도다. 업무 부담은 상대적으로 작으면서도 상당한 봉급·복지 수준에 정년도 확실하게 보장되는 직종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들이 누리는 혜택이 학생들이 어렵게 낸 등록금으로 이뤄진다는 점이다. 비싼 등록금을 초래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가 교직원인 것이다. 대학들이 등록금을 내리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는 자구 노력을 제대로 하려면 교직원 운영·관리 실태를 그냥 지나쳐선 안 되는 이유다.

 대학 재정에서 교직원 인건비 비중은 결코 작지 않다. 전국 157개 사립대 2009년 결산자료에 따르면 등록금 10조2570억원을 걷어 교수와 직원 봉급으로 절반이 훨씬 넘는 5조9162억원을 썼다. 이 가운데 25~30% 정도가 교직원 봉급이다. 교직원 봉급을 인상하려면 불가피하게 등록금을 올릴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그런데도 일부 사립대 교직원이 수당을 빼면 교수와 맞먹는 봉급을 받는 현실은 분명 문제다. 교수와 직원의 연봉이 단일 호봉제인 경우 정년에 가까운 교직원 연봉이 1억원을 훌쩍 넘는 상황을 비싼 등록금을 부담하는 학생·학부모가 선뜻 납득할 수 있겠는가.

 복지 수준도 높은 편이다. 방학 때 전 교직원을 해외여행 보내 준 대학이 있는가 하면 직원 연구보조금 명목으로 수백만원씩 주는 대학도 있다. 하나같이 대학 재정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반면 일의 강도는 일반 기업에 비해 낮은 편이다. 특히 방학 땐 쉬거나 단축근무를 하면서도 월급은 다 받는다. 오죽하면 대학 사회에서 교직원이 교수보다 더 낫다는 말이 나올 정도겠는가. 이러니 교직원 채용 때 경쟁률 수백 대 1은 예사고, 명문대 출신에다 경영학 석사(MBA)·공인회계사·회계사 같은 엘리트 지원자들이 수두룩한 게 이상한 일도 아니다.

 대학은 이 같은 교직원 고비용 구조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개선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러지 않고서는 등록금 인하를 위한 답이 나오지 않는다. 대학 교직원들도 이제는 비싼 등록금으로 인한 학생들의 고통을 분담한다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