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5대 국새 첨단 합금·주조기술로 100년은 쓸 수 있게 만들어야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도정만 박사가 자신이 제작에 참여했던 3대 국새를 보면서 5대 국새 합금과 형상 등을 구상하고 있다. 5대 국새는 4대 국새와 달리 손잡이와 글자판을 하나의 거푸집으로 제조하는 ‘통주물’ 방식을 사용한다. [프리랜서 이순재]


“5대 국새(國璽)는 첨단 합금기술과 정밀 주조기술을 이용해 국격을 상징할 수 있도록 만들 겁니다. 최소한 100년 이상 사용할 수 있어야지요.”

 5대 국새 제작 실무총책을 맡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도정만(52·재료공학) 박사의 각오다.

KIST는 3일 행정안전부와 국새 제작 계약을 했다. 제작 기간은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소요 예산은 약 2억2000만원이다. 국새는 외교문서·훈장 등 국가 중요 문서에 찍는 도장이다.

 도 박사는 3대 국새 제작 때도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4대 국새는 제작 책임자의 사기사건으로 사용 중지된 상태다. 그래서 정부는 균열이 있어 퇴장했던 3대 국새를 5대 국새 완성 때까지 다시 사용하고 있다.

 - 5대 국새는 4대 국새와 제작 기법이 어떻게 다른가.

 “5대 국새는 손잡이(인뉴·印<9215>)와 도장(인문·印文)이 일체형이다. 주형 틀 하나로 만드는 것이다. 3대 국새도 그렇게 제작했다. 4대 국새는 기술이 부족해 두 부분을 따로 제작한 뒤 붙였다.”

 - 일체형이 그렇게 어려운가.

 “그렇다. 복잡하고 정교한 손잡이 조각을 표현할 수 있는 거푸집을 만드는 것이 아주 어렵다. 또 인뉴와 인문 부분의 강도를 동일하게 하면서 금 빛깔이 잘 나오고, 거푸집 속으로 잘 흘러들어가도록 하려면 첨단 합금기술이 필요하다.”

 - 4대 국새 때 전통기술을 사용했느냐 안 했느냐 때문에 문제가 됐다. 국새 제작 전통기술이 있나.

 “물론 있었을 것이지만 문헌으로 남아 있지 않다. 국새 장인이라는 것은 없었다고 봐야 한다. 조선시대의 예를 들면 몇십 년에 한 번씩 국새를 제작하는 데 국새만 만드는 장인이 있었다면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겠는가.”

 - 3대 국새는 균열이 생겼다.

 “외환 위기 직후 제작했는데 정부 예산이 너무 적어 금을 적게 썼다. 국새 속이 비어 있도록 했는데 그 두께가 평균 2㎜였다. 그래서 문서에 많이 찍다보니 금이 간 것이다. 5대 국새도 속을 비게 할 예정인데 두께를 평균 4㎜ 이상으로 할 예정이다. 그러면 너무 무겁지 않으면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 5대 국새의 재료로 금과 티타늄을 놓고 논란이 있었다.

 “금으로 결정한 것은 잘한 것으로 보인다. 금으로 결정된 뒤 이의를 제기한 사례가 한 건도 없었다고 들었다.”

 - 순금으로만 만드나.

 “순금으로만 국새를 만들면 너무 무르다. 그래서 합금을 만들어 18K 이상이 되게 할 예정이다. 순금은 약 3㎏이 들어간다. 순금의 강도를 수치로 나타내면 20 정도인데 금합금은 200 정도다. 국새 제작에 사용하는 합금기술은 KIST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비밀이다.”

글=박방주 과학전문기자
사진=프리랜서 이순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