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바퀴 도는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

조인스랜드

입력

[함종선기자] 한강변을 시민을 위한 명품 휴식 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서울시의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가 헛바퀴를 돌고 있다.

개인 소유 땅의 25 %이상을 기부채납 받겠다는 서울시의 계획에 해당 지역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설명회 개최한 여의도 등에서는 주민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고, 압구정ㆍ이촌 지역은 이같은 주민 반발을 우려해 서울시가 주민설명회 일정을 계속 늦추고 있다.

서울시는 올 1월 부지 25% 이상 기부채납 및 초고층 고밀개발 등의 내용을 담은 합정ㆍ여의도ㆍ이촌 전략정비구역에 대한 지구단위계획(안)을 발표했다. 하지만 해당 지역 주민들은 기부채납 비율이 높고 용적률이 낮아 사업성이 불투명하다고 서울시의 계약안에 반대하고 있다.

합정동 일대에는 전략정비구역 지구단위계획안 수립을 반대한다는 주민들의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있다. 최근에는 주민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도 했다. 주민들이 반대하는 가장 큰 이유는 전략정비구역 지정 당시에 비해 사업계획이 대폭 축소됐기 때문이다.

전략정비구역 지구지정 당시의 계획은 당인리발전소를 이전해 공원으로 조성하고 구역전체를 고밀개발하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지난 1월 발표된 계획안에는 발전소를 이전하지 않고, 개발방식도 전면 철거를 통한 재개발이 아닌 자력개발 방식으로 바뀌었다. 또 기준 용적률이 130%에 불과한데다 층수도 7층 이하를 적용했다. 이 때문에 주민들은 재산권에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됐다고 반발하고 있는 것이다.

여의도 주민 80% 서울시 계획안에 반대 서명

여의도 전략정비구역도 주민설명회와 주민공람을 통해 구체적인 계획안이 발표되자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지구단위계획안에 따르면 이 지역의 경우 기부채납 비율이 40% 이상이라 주민들의 반발이 더 크다. 올 2월 서울시가 개최한 2차 주민설명회는 진행이 어려울 정도로 주민들의 반대가 극심했다. 또 여의도 지구 전체 가구 수의 약 80% 가량이 지구단위계획안을 반대하는 내용에 서명해 영등포구청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촌 전략정비구역의 경우 아직 주민설명회와 공람이 진행되지 않아 주민들의 반대 움직임이 크진 않다. 그러나 이 지역 역시 25% 이상의 기부채납 비율에 대해 대부분의 주민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압구정 전략정비구역은 서울시가 주민설명회 일정을 계속 미루고 있다. 주민 반발이 워낙 큰 지역이기 때문이다. 압구정 현대아파트ㆍ미도아파트 단지에는 수년전부터 ‘25% 기부채납 결사 반대’등의 플래카드가 걸려있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시 관계자는 “25% 이상의 기부채납 비율을 유지한 상태에서 주민들이 받아들일 만한 계발 계획안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고 토로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