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소득 다시 2만 달러 시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대를 회복했다. 실물경제의 성장과 원화가치 상승이 쌍끌이를 한 덕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759달러를 기록해 2007년 이후 3년 만에 2만 달러 시대로 복귀했다고 30일 밝혔다. 원화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1172조 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10.1% 증가했다. 미국 달러화 기준 명목 GDP(1조143달러) 증가율은 21.6%에 달했다. 지난해 원화가치가 10.4% 뛰어오른 덕이다. 1인당 GNI는 명목 GDP를 인구수로 나눈 뒤 미 달러화로 환산해 얻는다. 1인당 GNI는 1995년 1만 달러, 2007년 2만 달러를 각각 돌파했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으로 2008~2009년 2만 달러 아래로 추락했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 GDP 성장률은 6.2%로 집계됐다. 지난달 발표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높아져 2002년 이후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5.5% 증가했다. 국민소득 증가율이 경제 성장률보다 낮은 것은 그만큼 교역조건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성장과 소득증가를 주도한 것은 제조업이다. 수출 증가와 내수에 힘입어 2009년 마이너스였던 제조업 성장률이 지난해 14.8% 성장으로 반전됐다. 특히 전기전자(21.6%)·일반기계(42.3%)·금속제품(15.6%) 업종의 분발이 돋보였다.

 하지만 그늘도 적지 않았다. 각 부문에서 양극화가 진행되는 조짐이 뚜렷했다. 대표적 내수산업인 서비스업 성장률은 같은 기간 1.2%에서 3.5%로 높아졌지만 평균 성장률을 한참 밑돌았다. 수출 제조업에 기댄 성장이 계속되고 있다는 뜻이다. 서비스업과 함께 내수산업으로 분류되는 건설업(-0.1%)과 농립어업(-4.3%)도 역성장을 면치 못했다.

 지난해 민간 총저축률은 2009년보다 1.8%포인트 높아진 25.2%를 기록했다. 번 돈보다 쓴 돈이 적었기 때문이다. 처분가능소득이 전년보다 9.4% 늘어난 반면에 소비지출은 6.6%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기업부문의 저축률이 높아졌다. 그러나 개인순저축률(3.9%)은 오히려 0.2%포인트 하락했다.

나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