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기업 영원한 줄다리기

중앙일보

입력

내년 총선에서 조건부 정치활동을 선언한 재계의 움직임을 놓고 청와대.국민회의, 그리고 자민련은 다양한 분석을 하고 있다.

그중 하나는 공동여당으로 상징되는 권력의 내부환경과 재계의 흐름에서 상관관계를 발견할 수 있느냐는 대목이다.

국민회의 정책관계자는 5일 "여권의 전열이 일사불란할 때는 정치권을 향한 재계의 움직임이 조용하나, 그렇지 않으면 재계의 목소리가 강해지는 게 우리 정치의 오랜 경험이며, 지금도 비슷하다" 고 주장했다.

지난해 2월 현 정권 출범 직후 김대중 대통령과 박태준 자민련 총재로 이어진 수뇌부는 재벌개혁을 강하게 요구했다. 정.재계 간담회에서 부채비율 감축.상호지급보증 해소 등 재벌개혁의 5대 원칙이 합의됐다.

지난해말 공동정권의 내각제 갈등으로 재벌 구조조정 추진에 이상기류가 발생했다는 게 여권관계자들의 공통된 분석.

해를 넘기며 빅딜 시한이 2~4개월씩 늦춰졌다. 박태준 총재는 당시 "내각제 문제로 구조조정이 차질을 빚고 있다" 는 우려를 표명했다. 재계의 내각제 물밑 지원설(說)까지 등장했던 게 이 시점이다.

그러나 4월 9일 金대통령과 김종필 총리가 '내각제 논의 중단' 을 선언하면서 '재벌개혁' 은 다시 급류를 타기 시작했다.

4월 하순 대우그룹의 구조조정 계획 발표, 대한항공 경영진 교체, 현대그룹의 대폭적인 구조조정안이 잇따라 나왔다.

7월 내각제가 물 건너 가며 재계개혁은 더욱 힘을 얻었다. 10월 16일 김우중(金宇中)전경련회장이 회장직을 사퇴했다.

그러나 옷 로비.언론장악 문건 사건으로 여권의 난맥상이 증폭되면서 재계의 목소리가 거세졌다는 게 여권의 대체적 시각이다.

이에 대해 재계는 노동계.시민단체들의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우리도 자구(自救)의 목소리를 낼 수밖에 없다" 고 강조한다.

전경련 관계자는 "조건부 정치참여는 노동계의 움직임에 대한 상응 조치일 뿐, 공동정권 내부의 기류와는 관계없다" 고 설명했다.

11월 중순 이후 재계측은 "각종 제도를 만드는 국회 등 정치권의 동반개혁이 필요하다" (19일.좌승희 전경련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장), "결함있는 제도를 시정하려는 정치개혁이 우선돼야" (13일.손병두 전경련 상근부회장) 등의 주장을 제기했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