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누엘 바루에코 기타 독주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깊어가는 가을 저녁 떨어지는 낙엽처럼 건조한 음색을 지닌 기타가 들려주는 세레나데에 흠뻑 빠져보면 어떨까. 현을 뜯거나 튕겨서 소리를 내는 기타는 피아노처럼 자신이 내는 선율에 리듬과 화음을 곁들여 스스로 반주할 수 있는 독주 악기다. 그래서 베토벤은 '작은 오케스트라'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다.

쿠바 태생의 기타리스트 마누엘 바루에코(47.맨해튼음대 교수) 의 독주회가 12월 1일 오후 7시30분 여의도 영산아트홀에서 열린다. 대형 공연장에서는 불가피하게 마이크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어쿠스틱 클래식 기타의 음향적 한계 때문에 6백70석짜리 무대에 서는 것. 마이크와 스피커로 왜곡되지 않는 기타 음색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는 기회다.

빌라 로보스의 '브라질풍의 바흐'중 '아리아'(협연 소프라노 박미혜), 바흐의 '무반주 소나타 G장조'와 함께 호아킨 투리나의 '판당고', '세빌랴나', 미국 작곡가 루 해리슨의 '아리아', '소나타', '세레나데', 쿠바 작곡가 에르네스트 레쿠오나의 '쿠바 춤곡집'중 '고풍스럽게' 등을 연주한다.

어릴 때부터 쿠바의 '국민악기'인 기타를 연주하면서 성장한 바루에코는 미국으로 건너가 피바디 음대에서 아론 쉬러 교수를 사사했다. 74년 콘서트 아티스트 길드 콩쿠르 우승한 첫 기타리스트로 그해 카네기홀 데뷔에 성공, 안드레스 세고비아.줄리안 브림.존 윌리엄스 등 명연주자의 계보를 이어가는 중견으로 자리를 잡았다.

링컨센터 앨리스 털리홀에서 열린 '명연주자 시리즈'에도 출연했으며 플루티스트 에마누엘 파후드와도 듀오로 활동 중이다.

그는 자신의 편곡으로 바흐.모차르트 등 클래식뿐만 아니라 칙 코레아.키스 자렛 등 재즈를 연주하면서 레퍼토리를 넓혀가고 있다.

파야.로드리고 등으로 스페인 앨범을 내놓은 그는 빌라 로보스.모차르트.바흐.알베니스 등으로 꾸며진 두번째 앨범에 이어 '투리나 기타 전곡 앨범', '비틀스 앨범', '바흐의 무반주 소나타', '남미 앨범: 노래와 춤', '쿠바!' 등 10여장의 음반을 발표해왔다. 특히 기타의 명곡으로 손꼽히는 로드리고의 '아랑후에스 협주곡'은 플라시도 도밍고가 지휘를 맡아 화제를 모았다. 02-598-8277.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