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중앙일보를 읽고…

'생리통 결석자 출석처리' 철회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1월 13일자 1면에서 초.중.고 여학생 '생리통 결석'해도 내년부터 출석으로 인정한다는 기사를 읽었다.

그간 학교 현장에서 여학생들의 극심한 생리통 호소를 간과해온 게 사실이다. 여성에게 건강한 삶을 누리게 하고 모성을 보호한다는 차원에서 보면 생리통 문제를 한두 여성의 개인적 문제로만 이해해선 안 된다. 이 때문에 월 1회 생리 공결제를 도입하자는 취지는 이해할 만한 근거가 있다.

그러나 제도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생각해야 한다. 중간고사를 잘 본 여학생이 생리통을 이유로 기말고사를 치르지 않는다면 성적 평가에서 혼선을 부를 수 있다. 남학생에겐 역차별될 수도 있다. 고3의 경우 듬성듬성한 빈 자리가 수시 합격생 때문에 가뜩이나 어수선한 학습 분위기를 더 나빠지게 할 수도 있다.

직장 여성의 생리 휴가도 법적 근거가 약해 축소하자는 여론이 제기되고 있는 마당이다. 생리 공결제는 학교 현실에도 맞지 않고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만큼 마땅히 철회돼야 한다고 본다.

박희연.대구시 중구 대봉2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