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의선 복선화 지상건설 고양시의회 "절대 안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지상이냐, 지하냐-.

경의선 복선 전철화 구간(서울 용산∼경기도 문산·48.6㎞) 중 고양시내 18㎞ 구간의 지상 건설 방안에 대해 경기도 고양시의회가 지하 건설을 요구하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합의한 국책사업에 대해 지방의회가 제동을 건 것은 이례적이다.

고양시는 당초 전철 지상화에 반대 입장을 보이다 지난해 7월 철도청이 제시한 ▶개방형 방음벽 설치 ▶향후 복복선전철 건설시 전동차 전용선 지하화 방안 등을 받아들여 지상화에 합의해 준 상태다.

그러나 시의회 관계자는 "최소한 주거밀집지역인 백마∼파주시 경계 간 5㎞ 구간은 반드시 지하화해야 하며 나머지 구간도 지하 또는 반지하로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의회에 따르면 전철이 지상에 건설되면 도시가 동서로 양분돼 지역발전을 저해할 뿐 아니라 교통혼잡을 가중시키고 철로 주변의 소음공해가 극심해진다는 것이다.

심규현(沈規鉉) 고양시 의원은 "서울시가 철도를 지상으로 건설하는 바람에 지난 1백년 동안 얼마나 많은 피해를 봤는지를 교훈으로 삼아야 한다"며 "정부는 더 늦기 전에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지상화 건설 계획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7월 취임한 강현석(姜賢錫) 고양시장도 지난달 21일 시의회 본회의에서 "고양시 구간의 지하화를 건교부와 철도청 등에 강력히 요청하겠다"고 약속, 시의회와 공조하기로 했다.

지역 시민단체들도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경의선 지하화 대책위원회' 지효현(池孝炫·목사)위원장은 "일산신도시와 고양시 주민들의 의사를 무시하고 철도청이 전철을 지상에 건설할 경우 모든 방법을 동원해 끝까지 투쟁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철도청은 "지하화할 경우 사업비가 지상화에 비해 세배 이상 소요돼 전철화사업을 추진할 수 없는 형편"이라며 "지하철과 일반열차가 함께 운행하는 데 따른 안전 및 기술 측면을 고려하더라도 지하화는 어렵다"고 밝혔다.

철도청은 1996년 말부터 경의선 복선 전철 사업에 나서 현재 2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으며 사업비 확보 지연 등으로 당초 예정보다 2년 늦어진 2008년 말 완공된다.

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