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집중해부]서울지검 특수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서울지검 특수부는 대한민국 검찰 조직의 최정예 인력을 모아놓은 곳이다. 검찰총장의 하명 사건 수사를 담당하던 대검 수사국이 1973년 대검 특별수사부로 개편되면서 이듬해 서울지검·부산지검 등 지방검찰청에도 특별수사부가 설치됐다. 서울지검 특수부는 79년에 특수1·2·3부로 확대 개편됐다.

특별수사본부장을 겸임하는 서울지검 3차장의 지휘를 받는 서울지검 특수부에는 자체 범죄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부서를 비롯해 계좌추적반·검거반이 따로 있다.

자체 감청장비도 보유하고 있다. 정보수집→내사→수사→기소→공소유지 등을 모두 자체 해결하는 강력한 조직인 셈이다.

수사 관계자 이외에는 접근할 수 없도록 평소 특수부의 철제 문은 굳게 닫혀 있다. 특히 서울지검 11층 특별조사실은 한번 들어가면 집으로 바로 돌아가기 힘들다고 해서 정치인 등에겐 '황천'으로 통한다. 이곳에는 화장실과 침실까지 갖춰져 있다. 특수부의 자체 수사 인력은 1백여명. 사정에 따라 경찰·금감원·국세청 등으로부터 정예요원을 파견받아 수사 인력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수부는 단순 고소·고발 사건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비리를 추적해 수사한다는 점에서 일반 형사부와는 다르다. 이같은 수사 특성 때문에 사정활동을 진두지휘하는 부서로 알려지게 됐다.

일반적으로 특수1부는 고위 공직자 비리나 대규모 경제 사건, 금감원·국세청·감사원 등에서 고발한 주요 사건을 다룬다. 특수2부는 건설·보건,3부는 중·하위직 공무원과 법조비리 수사를 담당한다.

김영삼 정부 시절에 서울지검 특수부장직을 거쳐간 사람은 모두 16명. 출신 지역별로는 영남 10명, 호남 3명 순이었다. 김대중 정부에서 임명된 특수부장 14명의 출신지는 영남 5명과 호남 4명, 서울·경기 3명 등이었다.

과거 정권에서 영남이 압도적이었던 것에 비하면 현 정부 들어 호남 출신의 비중이 다소 높아졌다. 이를 두고 "지역간 균형을 잡았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지역 편중을 무리하게 고려해 특수수사 경력이 많지 않은 사람들이 임명돼 부실 수사를 초래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