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기자가 본 ‘퓰리처상 사진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초속 10㎝ 남짓 될까. 20세기 후반부를 둘러보는 사람들의 발걸음 속도다. 이 느린 속도도 번번이 무시된다. 전쟁·평화·슬픔·기쁨·죽음·탄생을 표현한 커다란 사진들이 관람객의 눈을 붙들었다. 사진마다 붙은 600자 내외의 설명글은 발걸음을 멈추게 했다. 그리고 긴 줄이 생겼다. 서울 예술의전당 ‘퓰리처상 사진전’ 풍경이다.

한 관람객이 말했다. “머리로 보는 사진이 아니라 가슴으로 보는 사진입니다.” 그랬다. 이해하려 안간힘을 써야 하는 사진이 아니다. 엄숙한 공간에 걸려 있는 알듯 모를 듯한 영상과 달랐다. 퓰리처상 사진에는 피부색은 달라도 사람이 있다. 그리고 그 사람들이 만들어낸 사건이 있다. 동영상으로 흘러가는 시간이 아닌 카메라 셔터가 잘라낸 정지된 사건이다. 그악스러운 폭력의 현장이든, 기쁜 재회의 순간이든 상관은 없다. 그 행위를 보고 느끼기만 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분노하던지, 공감하던지 하면 됐다. 전시장은 희로애락의 도가니였다. 145점의 사진이 가진 각각의 감정을 한꺼번에 버무린 비빔밥을 관객들은 원 없이 먹게 된다.

퓰리처상 1945년 수상작 ‘성조기, 수리바치 산에 게양되다’, 조 로젠탈, AP.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영화 ‘아버지의 깃발’ 포스터로도 인용됐다.

전시된 사진은 이미 보았던 것들이다. 나이에 따라 본 사진의 숫자는 달라도 신문·잡지 등을 통해 보았던 작품이다. 처음 봤을 때는 뉴스였다. 뉴스는 언제나 충격적이다. 더욱이 뉴스사진은 속성상 글보다 충격적으로 다가온다. 그 충격으로 인해 오히려 사진에 눈이 오래 머물지 못한다. 끔찍한 영상이라면 더욱 그렇다. 잔잔한 미소를 짓게 한 영상도 바쁜 일상 속에서 쉽게 흩어진다. 수십 페이지 신문 안에는 수많은 사진들이 경쟁하고 있다.

이렇게 많은 사진영상은 흘러가 듯 우리 눈 앞을 지나간다. 우리 눈은 흐르는 각 장면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한다. 결국, 하나의 영상이 아니라 여러 영상이 지나간 잔상을 보는 것과 마찬가지가 된다. 잔상 속의 이미지는 광고로 연결하기 쉽다. 원본 속에 있는 정확한 이미지보다 두리뭉실하게 이해한다. 그리고 그 인식이 긍정적인 뜻이 크다면 더욱더 광고효과는 커진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이오지마 섬의 수리바치 산 정상에 성조기를 세우는 조 로젠탈의 사진이 대표적이다. 실제로는 전투가 끝나지도 않았고, 사진 속 해병 중 3명을 포함한 6821명의 미군이 전사했다. 또한 쿠리바야시 타다미찌(栗林忠道) 중장이 지휘한 일본군은 옥쇄작전이 아닌 게릴라전을 펼쳐 31일 동안 미군을 괴롭혔다. 사진 속 깃대도 일본군의 지하진지 급수용 수도관이었다. 처참한 전장 속의 사진이지만 2차대전에서 미국승리를 상징한 사진으로 이만한 것이 없었다. 이후 이 사진은 끝내 승리했다는 이미지가 더욱 강해져 광고사진으로 종종 변주되곤 했다.

보도사진에 대한 시상은 이런 잔상을 거둬내고 진정한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시상의 주체에 따른 관점과 기준은 달라도 선택된 사진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봉인을 받게 된다. 퓰리처상 사진 또한 마찬가지다. 전시장에는 잔상을 거둬낸 원본의 힘이 있다. 크게 확대된 사진은 작게 편집된 사진이 갖지 못한 크기에서 오는 힘도 갖는다. 작은 사진에서 보지 못한 부분이 큰 사진에서는 보인다. 그 힘과 새로움을 보기 위해 오늘도 관람객들이 긴 줄을 서고 있다. 8월 29일까지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 02-2000-6293.

신인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