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9개각]최경원 법무 왜 바꿨을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9일 최경원(崔慶元.사진)법무부 장관이 전격 경질되면서 법무부와 검찰에선 다시 한번 술렁거림이 있었다.

지난해 5월 충성메모 파동으로 안동수(安東洙)장관이 이틀 만에 물러난 뒤 임명된 그가 뚜렷한 이유 없이 8개월 만에 하차한 배경에 대한 의구심 때문이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崔전장관이 지난 17일 임명된 이명재(李明載)검찰총장과 함께 구상한 검찰 수뇌부 인사안을 놓고 청와대와 마찰을 빚은 것이 교체배경일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는다.

崔전장관이 소위 '호남색'을 탈피한 안을 마련했으나 청와대가 이견을 보였고, 때문에 인사가 계속 늦춰졌다는 것이다. 법무부나 대검측은 물론 이 부분을 부인하고 있다.

崔전장관이 김학재(金鶴在)청와대 민정수석을 3개월 만에 대검 차장으로 복귀시키려는 청와대 쪽의 움직임에 반대해 갈등을 빚었다는 얘기도 나돈다.

실제로 이날 오전 청와대의 개각 공식 발표 직전까지 金수석의 후임으로 김승규(金昇圭)법무부차관이 내정자로 거론됐었다. 결국 金차관이 건강상의 이유를 들어 완곡히 거부하는 바람에 '없던 일'로 돼버렸다는 후문이다.

崔전장관과 이명재 총장이 모두 비(非)호남 출신이어서 선거사범 수사에서 여권의 의도와 다른 입장을 취할 수 있다는 판단이 장관 경질을 부추겼다는 해석도 등장한다. 특히 崔전장관은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와 경기고 동문이다.

반대로 신임 송정호(宋正鎬)장관은 이런 부분들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점이 고려됐으리라는 것. 전북 익산 출신의 宋신임장관은 1997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한나라당이 고발한 이른바 'DJ비자금'의 수사 착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고검장 회의 때 '수사 불가'를 적극 주장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崔전장관은 이날 이임식을 끝낸 뒤 기자들에게 "기대했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자괴감과 안타까움이 앞을 가린다"며 "최근의 검찰파동을 교훈삼아 검찰은 국민의 신뢰를 빨리 회복해야 한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박재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