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법안 문제와 해법은] 3. 해법은 뭘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메이저'신문과 '마이너'신문, 중앙지와 지방지가 함께 발전할 길은 없는가. 전문가들은 "판매시장의 정상화가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며 "(이후) 각 신문들은 철저한 차별화로 독자의 선택을 받아야 한다"고 주문한다. 정부 지원의 필요성도 제기된다.

많은 선진국은 '여론의 다양성'을 위해 마이너 및 지방신문들에 대한 지원을 늘리고 있다. 우리도 지난 3월 '지역신문발전지원법'을 제정, 지방.지역신문을 돕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열린우리당이 지난달 발표한 신문법에도 신문발전기금으로 마이너 신문을 돕고, 신문유통법인을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 '차별화'가 살길=세계 어느 곳보다 신문 간의 경쟁이 치열한 영국 런던. 11개의 일간지가 발행되지만 고급지와 대중지, 좌파지와 우파지, 대판(기존 신문판형)과 콤팩트판(타블로이드)등 모두가 자기 색깔을 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 현실은 어떤가.

숙명여대 강미은(언론정보학과) 교수는 "그간 한국 신문은 중앙지, 지방지 가릴 것 없이 양적인 경쟁에만 치우쳤다"면서 "이제 질적인 경쟁으로 차별화를 시도할 때"라고 지적했다. 특히 지방신문의 경우 중앙지를 모방하지 말고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하는 등 지방신문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차별화'는 마이너 신문들에도 해당되는 원칙이다. 충남대 차재영(언론정보학과)교수도 이에 동감이다. 그는 "합리적인 조사를 통해 편집.제작 방향을 재조정해야 한다"며 "지방지의 경우 전국지와는 다른, 생활밀착 기사와 지역 기사로 승부를 걸어야 한다"고 말했다.

◆ 경영 합리화도 시급=많은 전문가는 지방신문과 마이너 신문의 경우 우선적으로 경영 선진화와 다각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또 정부는 공동판매 지원 등 유통개선을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언론재단 김영욱 연구팀장은 "신문사가 합리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하기 위해선 직접 독자를 관리할 수 있는 체제를 확보하는 게 선결조건"이라고 강조했다. '공동배달제'등 각종 지원책 이전에 본사 중심의 독자 서비스 체계가 확립돼야 한다는 것이다. 부산대 임영호(신문방송학)교수는 "특히 지방신문이 생존하기 위해선 적극적으로 새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터넷 사업과의 연계가 하나의 예다. 미국과 유럽 신문사들은 자사 인터넷을 통해 경매(옥션)사업을 실시, 짭짤한 수익 창구를 확보하고 있다.

◆ 세제 지원도 검토=신문에 대해 특별한 조세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한나라당 고흥길 의원은 최근 국정감사에서 "위기에 빠진 신문산업을 살리기 위해 면세 조치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운대 주동황(신문방송학)교수는 "경영이 열악하지만 저널리즘의 정도를 걷고 있는 신문사에 대해선 광고에 부과하는 부가가치세(10%)를 감세하는 정책도 도입할 만하다"고 제언했다. 핀란드의 경우 판매와 광고에 대한 부가가치세(22%)를 면제해 주고 있다.

◆ 협업 늘리고 시장은 키워야=전국지와 지방지, 지방지와 지방지가 협력관계를 확대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으로 꼽힌다. 순천향대 장호순(신문방송학)교수는 "전국지의 지방지 계열화 등을 허용, 전국지와 지방지 간의 '공동 구조'를 만드는 것도 검토할 만하다"며 "이를 위해 정간법 개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메이저.마이너를 막론하고 한국신문이 살길은 줄어드는 독자를 어떻게 확대해 나갈 것인가에 달려 있다는 게 언론학자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중앙대 이민규(신문방송학)교수는 "신문의 미래는 얼마나 양질의 콘텐트를 개발하고 독자들에게 가까이 다가설 수 있느냐에 좌우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