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대 '일반대 전환'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3면

산업대의 일반대 전환문제를 둘러싸고 해당 대학과 교육부가 갈등을 빚고 있다.

서울산업대.호원대 등 4개 국.사립 산업대 총장은 21일 민주당 이해찬 정책위의장을 만난 자리에서 설립 당시와 달라진 산업대의 환경을 설명하고 일반대로 전환해줄 것을 요청했다.

서울산업대 이진설 총장은 "모든 대학이 무한경쟁의 장으로 들어서고 있는 데도 산업대는 법제적.행정적 차별로 발목이 묶인 상태" 라고 토로했다.

산업대는 산업기술인력 양성과 평생교육을 위해 1982년 설립되었지만 이제 사회적 여건이 달라졌다는 것. 일반대학도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전문대 졸업자에 대한 편입학을 확대하는 등 산업대 고유영역이 사라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한경대의 한기영 총장은 "산업대는 최근 신입생의 90%가 일반계 고교 출신" 이라며 "산업대와 일반대의 차이점이 없어지는데 법적 구분은 여전하다" 고 지적했다.

국립산업대측은 국립일반대보다 행정과 재정 부문에서 차별을 받고 있다. 서울산업대의 김종호 기획실장은 "인원 배정에 대한 제약이 많아 교수 충원이 어렵다" 고 털어놓는다.

일반대학의 경우 교수 1인당 학생수가 24명인 데 비해 산업대학은 43명이나 된다는 것이다. 또 행정조직도 일반대학이 2처1실1국11과인 데 비해 산업대는 6과로 제한돼 있다. 학생수는 일반대와 비슷한 데도 행정조직은 전문대 수준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재정지원도 차이가 난다.

국립일반대의 학생 1인당 교육비가 6백45만원인 데 비해 국립산업대는 4백27만원이며, 준칙대비 교사확보율도 국립산업대(37.6%)는 국립일반대(78.9%)의 절반 정도에 그치고 있다. 더구나 산업대생은 ROTC를 할 수도 없고 교직과정 이수도 불가능하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산업기술 인력 양성이라는 산업대의 설립 목적이 있는 만큼 국립대는 일반대로의 전환이 곤란하다" 며 "국립대 발전계획에 따라 검토 중" 이라고 설명했다.

단 사립산업대는 설비.규모 등 대학설립 운영 규정을 충족시키면 일반대 전환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사립산업대측은 예산부담이 커 규정 완화를 요청 중이다.

백성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