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년 만에 … “승복아, 이제 와 미안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7면

1968년 울진·삼척으로 침투한 무장공비 120명의 일원이었던 김익풍씨(오른쪽)가 9일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 이승복군의 묘지를 찾아 승복군의 형 학관씨에게 참회의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속죄하는 마음으로 잔을 따릅니다. 사회가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는 고인의 유언을 잊지 않고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

9일 낮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노동리에 위치한 계방산 자락 이승복군의 묘지. “무장공비에게 항거하다가 무참히도 학살당해 자유민주 수호신으로 산화한 고 이승복군의…”(추도사). ‘이승복 제41주기 추모제’가 끝나갈 무렵 행사 내내 묘지 단 아래에서 두 손을 맞잡고 고개를 숙이고 있던 한 노인이 이승복 묘지에 술잔을 올렸다.

이 노인은 1968년 11월 울진·삼척으로 침투했던 무장공비 120명의 일원이었던 김익풍(68)씨. 무장공비 중 일부는 강원도 산골 초등학생이던 이승복군을 참혹하게 학살했다. 당시 김씨는 학살 현장에는 있지 않았다. 백발이 성성한 김씨는 이승복과 그의 어머니, 두 동생 등 당시 희생자들의 묘지에 차례로 술잔을 올렸다. 김씨는 “진작 찾았어야 하고, 계속 오고 싶었는데. 이제야 오게 돼 미안하다”며 눈물을 훔쳤다.

자수한 김익풍씨(오른쪽)가 1968년 다른 무장공비들과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중앙포토]

승복군의 형 학관(55)씨도 김씨의 손을 잡고 41년 만에 직접 용서했다. 학관씨는 당시 공비들의 칼에 찔린 뒤 거름더미에서 발견돼 생존했다. 학관씨는 “아직도 그들(공비)을 보면 어떻게 하고 싶지만 세월이 용서할 수 있는 여유를 만들어 준 것 같다”고 털어놨다. 학관씨는 “그도 그러고 싶어서 했겠느냐. 국가와 이념, 지시에 따라 그랬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세월이 무상하다. 지난 일은 잊자”고 말했다.

김씨의 이승복 묘소참배는 10월 22일에 이어 두 번째다. 김씨는 자신을 수소문해 전화 연락한 이승복기념관 박용훈(52) 관장이 “더 연로하시기 전에 한번 다녀갈 의향이 없냐”고 하자 “가 보고 싶다”고 말한 후 10월 22일 오전 기념관을 찾았다. 김씨는 기념관과 생가를 둘러보고, 묘소에선 네 잔의 술잔도 올리고 참배했다.

박 관장은 김씨가 “‘죄스럽다. 국민을 상대로 한 반공·안보교육이 너무 없어 정신적으로 해이해진 것 같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과정에서 박 관장은 “기일이 12월 9일인데 그때도 오시라”고 제안했고, 김씨는 “오겠다”고 답했다. 박 관장은 형 학관씨와 추모제를 주관하고 있는 대한민국 육·해·공·해병대 예비역 영관장교 연합회에 김씨의 뜻을 알리고 양해를 구했다.

무장공비 잔당으로 남아 있다 대관령 인근에서 자수한 김씨는 80년대 반공강연을 했다. 90년대엔 사업을 시도했으나 재산을 날리고 현재 서울 근교에서 어렵게 생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찬호 기자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과 이승복=1968년 11월 2일 북한 민족보위성 정찰국 예하의 124군 부대 소속의 무장공비가 8개 조로 나뉘어 울진과 삼척 등지에 침투했다. 그해 말까지 대부분 사살되거나 생포됐으며 일부는 자수했다. 당시 초등학생이던 이승복은 12월 9일 밤 어머니·남동생·여동생과 함께 살해당했다. 그의 형 학관씨와 아버지는 칼에 맞아 크게 다쳤다. 이승복은 학살 직전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건이 알려지면서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리고 동상이 세워지는 등 반공정신의 상징이 됐다. 90년대 말 ‘공산당이 싫어요’ 발언의 진위 논쟁이 벌어지면서 교과서에서 삭제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