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설] 마약 위험수위 넘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마약이 몰려오고 있다.

연예인.유흥업소.윤락가 주변에 머물던 마약사범이 최근 대학생.회사원.가정주부는 물론이고 농어민.직업 운전자에 이르기까지 직업.계층 구분 없이 마구잡이로 확산되는 추세다.

대규모 마약사건이 하루가 멀다하고 계속되고 있으니 비교적 마약 안전지대로 여겨졌던 한반도에 마약 적색경보가 켜진 셈이다.

검찰의 마약사범 백서를 보면, 우선 적발된 숫자가 지난해 처음으로 1만명을 넘었고 1995년(5천4백18명)이후 5년 만에 2배로 증가했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재소자 범죄 유형이 사기.절도 등 일반 형사범죄는 줄어든 반면 마약사범은 1년 사이 12%나 늘어났다.

또 마약사범의 83%가 20~40대의 청장년층에 몰려 있다는 점도 충격적이다. 국가 장래를 책임지고 가장 왕성하게 활동해야 할 시기의 연령층이 마약에 빠져 있다니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적발된 마약의 종류도 히로뽕.대마초에서부터 엑스터시.야바.LSD.코카인.헤로인 등 다양하기 이를 데 없어 세계 각국의 신종 마약 전시장을 방불케 한다.

국제 교류의 급격한 활성화와 국제통화기금(IMF)사태가 마약사범 증가 요인이라지만 한동안 당국의 대응이 안일하고 미온적이었음은 반성해야 한다.

마약사범의 재활 노력 지원도 소홀했었다. 대검찰청 마약과를 마약부로, 서울경찰청의 마약반을 마약계로 각각 확대 개편해 단속을 강화하고 범정부 차원의 마약류 대책협의회를 설치키로 했다니 다행스럽지만 뒤늦은 감이 있다.

마약은 개인을 황폐화.무력화할 뿐만 아니라 제2의 범죄가 뒤따르는 사회악의 원천이다. 거래.투약 과정의 은밀성 때문에 당국의 단속은 한계가 있고 적발됐을 때는 이미 시기를 놓쳤을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마약사범 퇴치를 위해서는 가족이나 친지 등 주변 사람들의 노력이 중요하다. 이제 '백색 공포' 로부터 가정.가족을 지키는 것은 일차적으로 각자의 몫이 됐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