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비서실 개편] 여권 달라진 역학관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김중권 비서실장 체제의 퇴진은 여권의 권력 판도에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金실장은 현 정권 내 신(新)주류의 간판이었다. 金대통령은 신주류와 동교동계가 중심인 구(舊)주류의 역할 공간을 적절히 배합해왔다.

'

이강래(李康來)전 정무수석의 뒤를 이었던 김정길 정무수석이 동반 사퇴하고, 국민회의 이종찬(李鍾贊)부총재는 문건 파문으로 거의 낙마상태여서 신주류 후퇴의 양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동교동계는 이번 인사를 계기로 자신들의 활동영역이 늘어나길 기대하고 있다. 동교동계 출신 한 당직자는 "집권 후반기의 차기 비서실장은 대통령과 당을 제대로 알고,가교 임무를 할 수 있는 인사가 기용돼야 한다" 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인제(李仁濟)당무위원.이수성(李壽成)평통 수석부의장 등 차기 주자들의 위상 강화 행보도 주목받게 됐다. 李위원은 이날 신당 참여 선언과 함께 "총선 승리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다하겠다" 며 적극적인 행보를 다짐했다.

金실장에게 주어질 신당 내의 역할도 관심사다. 동교동계를 '신당의 얼굴' 로 바로 내세울 수 없는 여권의 고민이 여전한 때문이다.

'

金대통령은 물러나는 金실장에게 "어려운 결단을 내려주었다. 앞으로도 많은 기여를 해주기 바란다" 고 격려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김대중 대통령은 국민 대통합의 국정 이미지를 위해 TK 민심 관리 역할을 맡아온 金실장에게 신당의 중요한 직책.임무를 줄 것" 이라고 전망했다.

고향(울진)출마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진 金실장은 창당준비위 지도부에 포진돼 총선에서 TK 공략의 대표주자역을 맡게 될 전망이다. 金수석도 노무현(盧武鉉)부총재.김기재(金杞載)행정자치부장관과 함께 부산에서 출마할 예정이다.

최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