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의원 공방' 치열…이종찬씨 국정원장 퇴임때 일부문건 갖고나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정형근(鄭亨根.한나라당)의원이 이도준'(李到俊)' 평화방송 기자에게 1천만원을 준 사건을 둘러싼 여야의 대치상태는 1일 국민회의가 이회창(李會昌)한나라당 총재의 연루 의혹을 제기하면서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여권의 이런 주장을 언론장악 음모를 덮기 위한 '음해공작' 으로 규정, 국정조사 준비협상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경우 국회일정을 전면 거부키로 했다.

이런 가운데 국민회의 이종찬(李鍾贊)부총재가 국가정보원장 퇴임 때(지난 5월 25일) 국정원 문건 일부를 가져나온 사실을 시인, 새로운 파장을 낳고 있다.

특히 전직 국가 최고정보기관장의 이런 행태가 적법한지를 놓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 국민회의〓이만섭(李萬燮)총재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간부회의에서는 국정조사를 통해 鄭의원의 '정보매수' 의혹의 진상을 철저히 규명키로 했다.

이영일(李榮一)대변인은 "李기자가 사건발생 뒤 이회창 총재를 찾아가 보호요청을 하는 등 李총재가 깊숙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고 주장하고 "鄭의원이 경제적 어려움이 있는 젊은 기자에 대해 파렴치한 행위를 했다" 고 비난했다.

◇ 한나라당〓의원총회에서 이회창 총재는 "사건의 실체와 본질은 현 정권의 언론말살 기도" 라며 "그런데도 여권은 본질을 배제하고 정형근 의원의 자금수수 문제로 몰아가고 있다" 고 공격했다.

특히 의원총회에서는 국정조사가 여권의 언론장악 문건의 실행 여부에 초점이 맞춰지지 않은 한, 정기국회의 정상적인 의사 일정을 계속할 수 없다고 결론내리고 남은 국회일정을 재검토키로 했다.

◇ 이종찬〓李부총재는 기자들에게 "남북문제에 관심이 있어 (국정원의)양해를 얻어 문건 일부를 퇴임 때 갖고 나왔다" 며 국정원 문건 반출 사실을 시인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장광근(張光根)부대변인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 이라고 지적했다.

김진국.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