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골격 어떻게 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2여+α' 방식의 정계 대개편이 급류를 타고 있는 가운데 통합추진 방식과 신당의 골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과 김종필 (金鍾泌) 국무총리는 17일 워커힐 빌라 단독회동에서 창당 원칙에 합의하면서 이 문제에 대해서도 큰 가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여권 핵심부는 2여간 합당이 아닌 '헤쳐모여' 식의 신당 창당이라는 추진방식을 선택할 것이라고 한다. 이는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간판을 내리고 동등한 자격을 가진 제3의 세력과 함께 원점에서 새 깃발을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내각제 개헌은 사실상 물 건너 가게 된다. 내각제 개헌의 두 주체인 양당이 없어지게 되니 약속을 지킬 당사자도 없어지게 되는 셈이다.

여권은 내각제가 사실상 무산된 대신 현행 헌법의 내각제적 요소를 최대한 활용한 국정운영을 신당 창당 이후의 대안으로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JP 위상강화가 신당의 골격과 성격을 결정짓는 핵심적인 변수로 등장했다. 이와 관련해 DJ는 "어떤 경우에도 총재를 맡지 않는다" 는 결심을 굳힌 것으로 전해졌다.

DJ가 총재를 맡을 경우 기존의 국민회의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해 신당 창당의 의미가 반감되기 때문이다.

JP 본인과 자민련측은 내심 'JP총재' 를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JP가 총재를 맡아야만 차기 총선에서 자민련 세력의 정치적 장래를 보장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다수의 추종세력이 신당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朴총재가 총리를 맡게 될 가능성도 있다.

JP가 총리직을 유지할 경우에 대비해 총리의 위상을 강화하는 방안도 모색되고 있다. 결국 'DJ 이후' 대안으로서의 JP를 부각시키는 다양한 방안이 총동원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 추세로 미뤄 양당은 곧 창당을 위한 실무작업에 돌입할 것이다. 정기국회가 시작되는 9월 10일 전까지 창당작업을 마무리하겠다는 것이 DJ의 의지이기 때문이다.

이미 맥이 빠져버린 내각제 유보 후속협상을 위한 8인협의회와는 별도의 합당준비위원회가 곧 가동될 움직임이다.

한편에서는 한나라당내 비주류 중진의원들과의 접촉도 부쩍 강화되고 있다. 신당의 성패는 국민적 공감대를 확보할지 여부에 달려 있다. 단순히 총선에서 유리한 구도를 갖기 위해 이뤄진 몸집 불리기라는 비난이 제기될 경우에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 '경제개혁 등 각종 개혁을 완수하고 21세기를 대비하기 위한 새로운 정치세력' 을 표방하게 될 것" 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역의원을 대거 물갈이하고, 시민운동.재야세력 중 참신한 인사를 수혈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하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