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MB 정부의 주요 정책 이젠 윤진식을 통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투톱 체제’로 정책 조율 강화=이번 개편에서 가장 중요한 시스템 변화는 윤진식 경제수석이 겸하게 된 정책실장의 신설이다. 이 수석은 이와 관련, “정책 분야의 통합·조정 기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신설한 것”이라며 “정책실장은 부(대통령)실장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무 분야의 운영은 정정길 대통령실장이 많이 관여할 걸로 본다”고 덧붙였다. 정 대통령실장은 정무 분야를, 윤 정책실장은 정책 분야를 총괄하는, 사실상의 ‘투톱 체제’가 도입됐다는 뜻이다.

<그래픽을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 윤 정책실장은 앞으로 경제수석실은 물론 국정기획·사회정책·교육과학문화 등 정책 관련 수석실의 업무를 총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책조정회의도 정례화해 주재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청와대는 지난해 6월 개편 때도 정무수석이 이끄는 ‘정무팀’과 경제수석이 이끄는 ‘정책팀’으로 나눠 조직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특히 정책 부문의 경우 업무가 다양한 데다 수석들 간 의견 조율도 쉽지 않아 성과가 나지 않자 이번엔 정책실장을 만들어 본격적인 조정을 맡기기로 한 것이다.

이처럼 청와대가 정책 조정 기능을 강화하는 것은 이명박 대통령이 8·15를 전후해 강조한 ‘중도실용주의’ ‘친서민 행보’와도 관련이 있다. 고위 관계자는 “두 국정기조를 국민이 체감하게 하려면 일관된 정책을 구사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정부 부처 간은 물론 청와대 내부 정책 조율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개편을 두고 정치권 일각에서는 “결국 비서실장과 정책실장이 따로 있던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로 돌아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소통·인사 역량 보강=이번 개편을 거치며 힘이 실린 또 한 명의 수석은 대변인에서 자리를 옮긴 이동관 홍보수석이다. 이 수석은 공보 업무를 하던 대변인실과 홍보를 맡았던 홍보기획관실을 통합한 조직을 총괄하게 됐다. 대통령의 생각과 국정운영의 방향을 언론과 국민에게 전달하는 단일 창구가 된 셈이다. 청와대는 이 같은 통합을 통해 그동안 두 조직 간 중첩되던 업무가 합쳐지고, 반대로 사각지대에 있던 일은 책임자가 생겨 대국민 소통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대통령의 각종 연설을 관리하는 메시지기획관을 신설한 것도 역시 소통 강화를 위한 시도라는 게 참모들의 전언이다. 메시지기획관 밑엔 대통령 이미지(Presidential Identity) 전략을 담당하는 비서관도 배치될 전망이다. 철저한 이미지 전략 아래 대국민 메시지를 내놓기 위해서다. 현재 첫 메시지기획관으로는 김두우 정무기획비서관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이 밖에 인사기획관을 신설한 것은 현 정부 출범 이후 되풀이돼온 ‘부실 인사 검증 논란’을 잠재우기 위한 조치다. 민정수석실과 인사비서관실로 흩어져 있던 인사 추천과 후보 검증 업무를 한 곳으로 묶어 시너지 효과를 내보겠다는 계산이다. 이와 함께 청와대는 민정수석실 산하 공직기강팀도 비서관실로 확대해 인사 검증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청와대는 인사기획관 후보를 외부에서 물색 중이다. 하지만 이 같은 조직 개편도 추천과 검증을 모두 책임졌던 노무현 청와대의 인사수석을 연상시킨다는 지적이 있다.

◆실세 상근특보 첫 도입=현 정부 들어 처음으로 상근특별보좌관(특보)이 생긴 것도 이번 청와대 개편의 특징이다. 특히 이들 특보가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낸 강만수 경제특보와 정무수석을 막 마친 맹형규 특보라는 점이 눈길을 끈다. 이에 따라 청와대 안팎에서는 “명예직에 머물렀던 특보들이 앞으로 장관급 활약을 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편 신설된 국제경제보좌관은 청와대 고위직으로는 드물게 계약직이 될 전망이다. 현재 청와대는 국제금융전문가 2~3명을 대상으로 인선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한다. 이 자리가 기획관급이 될지, 비서관급이 될지도 아직은 미정이다.

 남궁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