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해법 어떻게 풀까]협상라인 풀가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목전까지 갔던 여야 총재회담의 불발로 정국은 난기류에 휩싸여 있다.

모든 게 극히 불투명한 형국이다.

이러다가 완전 결렬될 경우 여야 극한 대치는 돌이킬 수 없는 상황으로까지 치달을지 모른다.

김대중 (金大中) 대통령의 일정상 여야 총재회담이 가능한 시간은 10일 하루뿐. 청와대측은 해외순방 (11일 訪中) 전날 총재회담을 한 전례가 없다는 말을 흘리면서도 이날이 아니면 순방후의 회담은 더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한화갑 (韓和甲).박희태 (朴熺太) 원내총무 등 국민회의.한나라당의 협상파들 이 이회창 (李會昌) 총재의 '일단 거부' 방침에도 불구하고 계속 대화를 하고 있어 10일중 극적으로 성사될 가능성도 가늘게나마 남아 있다.

하지만 회담이 성사되더라도 협상과정에서 양측 감정의 골이 워낙 깊어진데다 '안하느니 못한 회담' 이라는 비관적 분위기마저 짙게 깔려 있어 회담을 통한 정국의 정상화 기대를 하기는 어려운 형편이다.

합의문에 ▶생산적 정치지향▶국회개혁 및 민생법안 처리▶여야간 경제협의체 구성 등 상징적이고 추상적인 문구 정도가 천명되더라도 막상 정국경색을 낳게 한 경제청문회.총풍.사정 등에 대한 공통된 인식이 표명되기는 대단히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이같이 '깨지기 쉬운 합의문' 이 총풍 최종 수사발표, 정치인 사정 진행 등 파란이 예상되는 향후 정국의 안정성을 담보하기엔 역부족일 것이라는 얘기다.

물론 10일 회담마저 무산되면 정국 파고는 엄청날 전망이다.

우선 대통령의 방중→말레이시아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APEC) 회담 참석→클린턴 미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등 金대통령 일정상 23일까지는 물리적으로 총재회담이 불가능하다.

그 사이에 국회도 여당이 수의 힘을 무기로 청문회.개혁법안 등을 강행 처리하거나 준비할 시점이어서 여야 격돌이 불보듯 환하다.

대통령 취임날부터 조성된 여야 대치정국이 이런 식으로 한해를 넘길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그래서 나온다.

전영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