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마이클

중앙선데이

입력

"중앙선데이, 디시전메이커를 위한 신문"

#‘짝짓기’류의 TV 프로그램에서 빠지지 않는 건 이성을 유혹하기 위한 댄스 타임이다. 아이돌그룹이나 댄스그룹 멤버들이라면 이럴 때 점수를 따야 한다. 음악에 맞춘 그들의 몸놀림은 재빠르다. 현란한 카메라 워킹과 조명, 딱딱 찍어 주는 편집 기술과 ‘댄싱 머신’ 등의 문자가 더해지면 효과는 더욱 극대화된다. 어떻게 해야 춤을 잘 추는 것처럼 보일지에 집중하며 그들은 숨가쁘게 ‘움직’인다.

#콘서트장에 가 봤다. 국내에서 ‘가창력하면 첫손 꼽히는 남자 가수’의 무대였다. 기대만큼 그는 열심히 노래를 불렀다. 가끔씩 보이는 목의 힘줄은 가창력의 원동력처럼 보였다. 도저히 올라갈 수 없는 고음을 절규하듯 토해 내면 객석에서도 열광적인 함성이 터져 나왔다. 그는 어떻게 해야 노래를 잘하는 것처럼 보이는지 잘 알고 있었다.

#마이클 잭슨이 갑작스레 죽었다. 생전 그의 모습 중 가장 기억되는 건 춤일 것이다. 그의 춤은 최근 경향으로 보자면 ‘팝핀(pop-pin)’에 가깝다. 그의 등장 이후 춤은 서서 꺾는 ‘팝핀’과 누워서 도는 ‘비보잉(B-boying)’으로 확연히 갈라졌다. 그는 엇박자로 추었다. 어깨가 왼쪽으로 가는가 싶은데 팔이 오른쪽으로 뻗어 나가는, 상체는 가만히 있는데 하체는 돌아가는. 그의 몸은 따로따로 놀았다. 그 결정판이 앞으로 걸어가는 듯 보이나 뒤로 미끄러지는 ‘문 워크’였다.

그러나 그가 춤의 제왕으로 등극할 수 있었던, 더 큰 요인은 ‘절제’다. 그는 함부로 몸을 놀리지 않았다. 움직여야 될 순간을 기다렸다 폭발하듯 한 동작에 모든 걸 뿜어 냈다. 사람들이 어떻게 팔을 돌릴지, 얼마나 빨리 스텝을 밟을지에만 촉각을 세울 때 그는 정지된 순간의 긴장감으로 관객을 빨아들였다. 그는 춤의 본질이 ‘움직임’이 아닌 ‘멈춤’에 있음을 알고 있었다.

#그렇다면 마이클 잭슨이 과연 노래는 잘했을까. 선뜻 동의하기에 주저하게 된다. 가창력이 있다는 건 ^성량이 풍부하고 ^고음을 치고 올라가며 ^호소력이 짙어야 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그의 선택은 달랐다. 성량 대신 잘게 쪼개지는 리듬감을 포진시킨 채 고음을 질러대기보다 아예 여성의 음역을 택해 ‘안정된 고음’을 불렀으며, 거친 호소력이 아닌 섬세하고 세밀한 감성으로 무장했다. 마빈 게이의 간드러짐과 제임스 브라운의 샤우팅을 집대성한 게 그의 창법이다. 한번 돌아보자. 그의 노래를 리메이크해 히트를 한 사람이 있었는가. 노래방에서 ‘빌리진’이나 ‘빗잇’을 부르는 사람이 있던가. 아무도 없었다. 아무도 그를 따라 부를 순 없었다.

#그가 살아 있을 때 대중은 열광했다. 그러나 평자들은 인색했다. 보기에 완벽한 춤을 추고, 듣기에 너무나 좋은 노래를 부르는데 어떻게 해석의 여지가 있었겠는가. 기존의 분석 틀을 뛰어넘은 그는 차원이 달랐다. 무엇보다 그는 티 내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의 타고난 재능을 탐낼 뿐, 그의 노력은 몰랐다. 이동하는 차 안에서도 쉼 없이 노래 연습을 하면서도 막상 무대에 오르면 그는 시치미를 뚝 뗐다. 그러곤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발을 놀리고 마이크를 잡았다. 그게 고수다. 아마추어리즘이 횡행한 이 시대, 그는 진정한 프로페셔널이 무엇인지 말없이 보여 줬다.



중앙일보 문화부 공연 담당 기자. 타고난 까칠한 성격만큼 기자를 천직으로 알고 있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더 뮤지컬 어워즈’를 총괄 기획하고 있다.

최민우 기자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