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태양광·신재생 에너지 시설 … 지자체는 ‘그린 먹거리’ 만들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0면

내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 중인 시화호 조력발전소를 하늘에서 내려다본 모습. 설비용량이 25만4000㎾로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다.

이산화탄소(CO2) 발생량을 낮추는 데에는 생산활동을 벌이는 기업만 앞장선다고 될 일이 아니다. 국민의 인식 또한 바뀌어야 하고, 정부의 장기적인 마스터플랜도 필요하다. 녹색성장은 하루아침에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방자치단체들도 녹색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소매를 걷어붙였다. 자자체들이 녹색성장을 외면하면 차세대 먹을거리를 놓치는 결과를 빚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지자체의 녹색성장 노력을 점검해 봤다.

◆서울시=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5억9950만t(2006년 기준)이다. 이 가운데 서울시가 배출하는 양은 4500만t으로 7.5%에 이른다. 서울시의 온실가스 감소대책은 대형 건물의 에너지합리화 사업과, 수송부문의 ‘자동차 이용 줄이기’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건물주가 건물을 리모델링할 경우 시는 사업비를 지원하면서 취득세와 등록세를 감면해 주고 건축기준을 완화해 준다. 지난해 4월 이후 코엑스와 김포공항 등 25개 건물이 에너지합리화 사업을 완료했으며, 현재 조선호텔 등 12개 건물이 사업추진 협약을 진행 중이다. 1% 미만에 머물고 있는 자전거의 교통수단 분담률을 2012년까지 2.6%로 끌어올리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서울권역에 순환형과 도심∼부도심 연결형 등 360㎞의 자전거 전용도로망을 만들고 있다.

내년 상반기 상암동 월드컵공원 일대에는 에너지 자립형 건축물인 ‘에너지제로 하우스’와 연료전지 자동차 운행을 위한 수소 충전시설(수소스테이션), 공원운영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발전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의 신재생에너지 랜드마크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현재의 1.2%에서 10%까지 끌어올리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10% 줄여나가기로 했다. 특히 동부산권에 ‘수소+신재생에너지 복합타운’을, 서부산권에는 풍력 등을 이용한 ‘녹색성장 거점 산업단지’를 조성키로 했다. 강서구 생곡동 부산환경자원공원 인근 부지에는 하루 900t을 처리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 연료화시설을 짓고 60만㎾의 전력생산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부산시는 또 문현금융단지를 특화된 금융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해 한국거래소(KRX)와 함께 탄소배출권거래소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경기도= 파주 민통선 내 임진각∼통일대교∼초평도를 연결하는 14.4㎞의 자전거도로를 개설한다. 9월부터 월 1회 3시간가량 개방할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안산 시화호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발전소가 건설 중이고, 도내 곳곳에 가축분뇨로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오 가스 플랜트가 속속 들어서고 있다. 안성시 일죽면 화봉리 국제축산양돈장에 설치된 한경대 바이오가스 플랜트도 그중 하나다.

◆인천시=중점적으로 추진 중인 녹색성장 사업은 해양에너지 메카 조성, 기후변화협약 대응체계 구축,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시민의 녹색성장 참여 유도 등으로 나뉜다. 강화도의 4개 섬을 연결하는 강화조력발전소는 이르면 내년 착공, 2017년 완공할 예정이다. 발전시설 용량은 현재 건설 중인 시화호 조력발전소(254㎿)의 3.3배인 840㎿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올해부터 정수장과 사회복지시설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짓고 하수처리장에는 지열·바이오가스·폐기물 연료화를 위한 복합 시설을 설치하기로 했다.

◆전북도=전북도는 올해 초 일찌감치 ‘녹색 부도(富道)’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새만금지역 저탄소 녹색성장 시범도시 조성, 신재생에너지 육성으로 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또 기후변화 대응으로 저탄소 사회 구현, 녹색조림 확대로 전북의 그린화(온실가스 증가분 25% 감축) 등의 목표를 설정했다.  

심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