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구조조정]조직 통폐합 인력 10% 감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서울시 교통관리실과 도로국이 합쳐지는 등 유사중복기구가 통.폐합되고 정책기획 분야가 강화돼 시의회.정당.구청에 대한 시의 업무조정 기능이 활성화 된다.

또 동대문운동장.서울대공원을 비롯한 시 산하 체육.공원시설이 민간에 위탁.운영되고 상수도 사업본부의 공사화가 추진된다.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구조조정 차원의 조직개편안을 15일 고건 (高建) 서울시장 당선자에게 보고할 예정이다.

개편안은 시가 시정개발연구원에 의뢰, 시공무원에 대한 설문.면담 조사와 전문가들의 자문을 토대로 만든 것이다.

개편의 기본방향은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유사업무를 맡고있는 2~3개 과 (課) 나 국 (局) 을 합친 '대국 대과' 로 개편하고 다단계 조직단계를 단축하는 내용. 이에 따라 교통관리실과 도로국, 도시계획국과 주택국, 보건사회국과 가정복지국 등 비슷한 일을 하고있는 부서가 우선 통폐합 대상이며 결제과정 단축 등을 위해 1급 (관리관) 중심의 실 (室) 단위가 국 단위로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또 ^농촌지도소와 같이 기능이 쇠퇴한 부서 ^유흥업소 단속과 같은 규제관련 부서 ^공보관실 등 행정지원부서가 대폭 축소될 전망이다.

이경우 본청 및 구청의 과단위 이상 기구와 직급별 공무원 정원이 최소 10%이상 줄 것으로 예상돼 고건 (高建) 당선자 취임후 서울시가 본격적인 구조조정의 홍역을 치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서울시 본청에는 21개 국 (또는 기획관) 과 73개과가 있다.

이와함께 개편안은 민선시대의 정책기획기능 강화를 위해 정무부시장 산하에 정책기획실 (실장 1급) 을 신설, 외부에서 전문가를 영입할 것을 제안했다.

이밖에 체육시설.공원.복지시설.하수처리시설 등의 운영을 민간에 맡겨 시정에도 경영 마인드를 도입하고 전문직 공무원 담당업무도 점차 외부용역으로 대체할 것을 제시했다.

민간위탁의 경우 시설.장비 및 인력 등을 일괄 이관한다는 방침아래 올 안으로 일부시설에 한해 시범적으로 민간에 위탁한위 2002년까지 연차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사업소의 민간위탁이 추진되고 공사화가 확대될 경우 정원의 30%수준인 1만6천여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시는 이같은 조직개편안을 토대로 高당선자의 의중과 16일 시달될 예정인 정부의 지자체 구조조정 지침 등과 연계, 7월중 조직개편안을 확정하고 8월까지 관련규정을 개정해 9월부터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또 지하철공사.강남병원 등 6개 투자기관에 대해서는 오는 9월까지 기관별 경영전반에 대한 실사작업을 벌인뒤 11월까지 투자기관 구조조정과 경영개선안을 확정, 내년부터 구조조정에 나설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시정개발연구원의 조직개편안은 아직 법적검토 등이 완전히 끝나지 않아 앞으로의 논의과정에서 다소 수정될 가능성이 있다" 고 말했다.

문경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